학문
얼음과 소금의 흡열반응에 대해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겨울철에 도로가 얼었을 때 염화칼슘이나 염화소듐을 뿌려 얼음의 어는 점을 낮춰 얼음을 녹이는 것은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염화칼슘이나 염화소듐이 얼음과 만났을 때 왜 흡열반응이 일어나는지 모르겠습니다.
고체 상태의 NaCl이 고체 상태의 H2O를 만났을 때 왜 에너지가 필요한지, 그 에너지를 흡수해
왜 다른 상태로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소금은 Na 와 Cl ion으로 녹으면서 흡열반응이 됩니다.- 즉 주위의 열을 가져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물에 소금을 넣으면 주변 온도보다 낮아지는 이유입니다. 
 염화칼슘은 발열반응을 하며 수화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즉 녹으면서 열을 방출하고 또한 주변의 물을 먹습니다. "물먹는 하마의 원리" 
 저도 얘들을 키우고 있지만,- 공부는 학교에서 자기 머리굴려가며 해야한다는 확신으로 잘 안가르쳐주는 편입니다. 
 뭐든 한가지라도 확실히 고민해가며 자기가 직접 풀어야 얻은 지식이 오래간다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 ㅎㅎ-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