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단디 행진에서 나오는 소금법 폐지는 무엇인가요?

단디행진에서 나오는 소금법폐지는 누가 어떤 내용으로 지정한건가요?

소금법폐지가 나오게된 역사적 배경과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답변왕
      답변왕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디 행진은 1930년 3월 12일 인도에서 일어난 영국 식민지 시절의 비폭력적 독립운동 시위였습니다. 이 시위는 영국이 부과한 소금법에 반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습니다. 소금법은 인도인들이 직접 소금을 채취하거나 생산하는 것을 금지하고 영국 정부에서 지정한 곳에서만 구매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인도인들은 매우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시위는 많은 인도인들이 참여해 인도의 독립운동의 불씨를 키우는 계기가 되었고, 결국 인도는 1947년에 독립을 선언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디행진에서 언급되는 "소금법폐지"는 19세기 말 조선 시대 말기에 실시된 세도 개혁 중 하나인 "소금수급규제제도"를 말합니다. 이 제도는 정부가 소금 생산과 수급을 규제하며, 불법 생산과 밀매를 처벌하고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습니다.

      소금은 농민들의 중요한 생활 필수품으로, 이 규제 제도는 농민들의 생활을 어렵게 하고, 부당한 과세와 부당한 처벌이 일어나는 등 불만이 많았습니다. 이에 대한 농민들의 불만과 민족적, 혁명적 요구가 고조되면서, "소금법 폐지"를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이 운동은 1882년 7월 23일인 광무군 변란으로 대규모로 일어났습니다. 당시 이승만, 박영효, 홍영식, 박영호 등이 이 운동을 주도했으며, 이들은 "단사범(團士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후 이들은 대한청년학회(大韓靑年學會)와 함께 "소금법 폐지"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와 운동을 벌였습니다.

      결국 이 운동은 성공을 거뒀으며, 1883년 2월 11일, 조선 정부는 "소금수급규제제도"를 폐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운동은 이후 국내적인 민족주의 운동과 국내 군대, 일본 군대 내에서 군수약사로 국익을 위해 활약한 의병들의 선례가 되기도 했습니다.

    • 단디가 아니라 간디 소금 폐지 운동이죠. 당시 소금에 어마한 세금을 메기고 엄첨 비싸게 판매를 해서 이에 소비자들이 반발하고 일어난 것이고 당시 간디가 있는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로 탄압이 심해서 이것에 저항하는 운동이라 생각하셔도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