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붉은메추리240
붉은메추리240

우리가 애창곡을 부를때 18번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왜 제일 잘 부르는 곡을 18번이라고 하나요? 그 유래가 어디에서 비롯됐는지 알고 싶습니다!

애창곡 제일 잘하는 곡은 1번이 되어야 할텐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대중 연극인 가부키에서 유래했습니다. 여러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부키에서 장이 바뀔 때마다 막간극을 공연했는데, 17세기 무렵 '이치가와 단주로'라는 가부키 배우가 단막극 중에 크게 성공한 18가지 기예를 정리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가리켜 가부키 광언( 재미있는 말) 십팔번이라고 불렀다고 한데서 유래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840년 가부키 배우였던 이치카와

    단주로는 수많은 가부키 작품 중에서 <47인의 낭인> 등 인기 있는 걸작

    18편을 선정 및 발표했는데,

    이것이 '좋아하는 극, 좋아하는 노래'라는 의미로 변하여 사용되다가 일제강점기 조선에 전해져 오늘날의 '18번'이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좋아하는 노래를 일컫는 '18번(十八番)'이란 말은 일본의 대중연극 가부키(가무기·歌舞伎)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지양하여야 할 단어 중 하나입니다.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726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애창곡을 18번이라 부르는 것은 일본에서 유래한것으로 일본전통 중 하나인 가부키 라는 예술로 17세기 일본 가부키 명가 7대손인 이치가와 단쥬로가문에서 이어진 가부키 연극에서부터 전해집니다.

    이치가와 단쥬로 가문에서 대대로 이어진 18번째 가부키 공연이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고 이에 일본인들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고 관심있다는 의미로 18번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