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8

비행기가 뜰 수 있는 과학적 원리 어떤 것들이 있나요?

비행기는 오랜시간 동안 하늘을 날 수가 있잖아요.

더 신기한 것은 비행기 무게를 보면 몇 천톤은 돼 보이는데 어떻게 무거운 것을 오랜 시간동안 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8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이 날개를 보면 윗면은 볼록하고 아랫면은 상대적으로 평평합니다.

    이 형태를 보면, 보다 굽은 길을 지나는 위쪽의 바람은 속도가 빠르고 ,

    상대적으로 평평한 길을 지나는 아래쪽 바람은 속도가 느린것입니다.

    이것은 바람이 일정한 구역을 같은 시간에 통과할때 거리가 멀수록(굽은 담년일수록)빠른 속도로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비행기 날개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은 날개 윗면과 아랫면 두갈래로 나뉘며,

    이것이 양력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행기에서 생겨나는 양력이 비행기의 무게 보다 커지는 시점에서 비행기는 뜰수 있습니다.

    이것이 비행기가 뜰수 있는 원리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

    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이러한 힘은 무거운 비행체를 띄울 수 있는 힘을 제공합니다.

    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또는 우주선과 같이 가스나 연료를 분사하여 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일큰 원리는 베르누이의 원리 입니다~

    양력을 받는 가장 중요한 원리이죠~ 베르누이의 원리는 날개 윗쪽과 아랫목의 공기흐름 속도를 조절하여

    압략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미는 힘을 이용하죠~





  • 비행기가 뜰 수 있는 원리는 양력 입니다.

    일정 속도 이상으로 공기 속을 운동하게 되면, 운동방향의 직각으로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 힘이 양력이고, 이것이 비행기가 공중에 뜨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비행기의 날개는 이러한 양력을 받아서 안정적으로 비행하도록 돕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