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단아한왕나비17
단아한왕나비17

조선시대 상류층 평민층 머리 구분 방법?

조선시대 상류층과 평민층의 머리를 구분하는 방법이나 명칭이 있나요? 그리고 조선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 가례(결혼) 를 그림이나 문자로 정리한 의례? 가례도감?의 명칭이 가례도감의궤가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상류층과 평민층의 머리는 머리 모양, 액세서리, 머리카락 색깔 등을 통해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남성은 상투의 크기와 장식으로 계급을 구분했습니다.

      여성 쪽마리를 썼으며, 쪽마리의 높이와 장식으로 계급을 구분했습니다.

      상류층은 갓, 관, 댕기, 금관, 옥관 등 다양한 액세서리를 착용했습니다.

      평민층은 갓이나 관을 착용하지 못했으며, 댕기와 같은 간단한 액세서리만 착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상류층과 평민층의 머리를 구분하는 방법이나 명칭은 '상투'와 '댕기'입니다. 상투는 남자들이 머리를 올려 묶는 방식으로, 주로 상류층이나 양반들이 사용했습니다. 반면에 댕기는 여자들이 머리를 장식하는 데 사용하는 끈으로, 주로 평민이나 서민들이 사용했습니다. 조선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 가례를 그림이나 문자로 정리한 의례는 '가례도감'에서 작성한 '가례도감의궤'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 서민 여성들의 머리 형태는 모두 커다란 머리를 하였으며, 왕비는 대수를 고려 말 공민왕 때 명나라 효자황후에게 사여 받은 커다란 양식을 계속 사용하였는데 이덕무의 시문집 《청장관전서》를 보면 세조 때 명나라 사신 윤봉이 큰머리 양식을 가져와 그대로 썼으며 일반 부녀의 머리 형태는 얹은머리를 하였다고 합니다. 얹은머리는 다리를 곁들여 머리를 높고 크게 할수록 미를 상징하였으며 다리는 머리숱이 적은 사람에게 많아 보이게 하여 덧땋은머리로 가체(加髢), 수체(首髢), 월자(月子), 다래, 달비 등으로 불리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