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화끈한가재38 맹꽁이
화끈한가재38 맹꽁이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어떻게 자리를 잡아야 2025년 미국에 휘둘리지 않고 유리하게 갈 수 있을까요?

국민이 하나가 되어야 하는데 정치의 분산과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보니 연말이 더 힘든거 같아요.

내년 미국 트럼트에 방어할 수 있는 정책들이 없을꺼 같아 걱정인데요.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자리를 잡아야 2025년 미국에 휘둘리지 않고 갈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정치의 분열은 원인을 가만히 보면 역사왜곡이라든가 빈부격차가 있습니다 지금 정부는 우파 정당이라 부자 세금을 깎아 줍니다 지난 정부는 좌파 정당이라 노동자들을 위한 부분을 많이 따집니다 지난번 최저임금을 올리고 세입자들을 위한 정책을 많이 썼기 때문에 이번에는 완전히 반대로 간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것도 빈부격차 차이기 때문이겠지요 그래서 항상 사람들이 얘기하는 거지 소득 불균형을 우려해야 한다는 것일 겁니다 또한 허무맹랑한 가짜 뉴스로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자들을 정리해야 하고요 우리 국민 자체적으로도 경제적인 정치적인 기본 소양을 공부하고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외국에서도 현재 정치적으로 불안하고 못 사는 나라들은 국민 교육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경제는 어쩔수 없이 미국에 휘둘려야 하는 상황에 있는데 그 이유는

      가장 큰 경제 대국이기도 하고 수출의 비중중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가 미국이기 때문입니다

    • 경제적인 이슈뿐만 아니라 국방력에도 영향이 있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가져가야 합니다.

    • 미국에 최대한 휘둘리지 않으려면 트럼프 눈에 튀는 행동을 하면 안되며 반도체 시장의 힘을 쥐고 있어야 합니다

    • 과거 트럼프 1기 때는 반도체로 압박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엔비디아가 ai 반도체를 꽉잡고 있고 TSMC도

      커졌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카드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협상을 통해서 내줄건 내주고 받을건 받는식의 방식이 드 맞을거같습니다. 내것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큰 도움이 되지 않을것같아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 우라나라 경제가 어떻게 해야지 미국에 휘둘리지 않고 유리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우리나라도 우리나라만의 기술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지 미국에 휘둘리지 않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GDP 상당 부분이 글로벌 교역에서 비롯됩니다. 미국에 휘둘리지 않는게 좋으나 미국과 엮이지 않을 방법이 없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미중 무역전쟁과 같은 틈바구니에서 각 산업에 속해 있는 기업들은 어떻게 시장을 지키고 성장할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을 해야 하며 늘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쿠팡에 밀린 롯데쇼핑, 이마트의 행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간 쌓아놓은 자본과 자산이 있어서 어느 정도 견디나 시간이 얼마 없습니다. 이마트가 중국 알리바바와 손을 잡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보면 안타까우나 아마도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듯합니다. 자본과 자산이 아직 있는 동안 과감한 투자와 국내외 유관&비유관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도 필요합니다.

    한국은 단일 경제권으로 살아 남을 수 없습니다. 자급자족 경제는 1970년대까지 저개발국가 정도의 위치에서나 가능하고 산업화 이후는 교역을 지속해야 합니다.

  • 우리나라 경제가 2025년 미국의 경제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유리한 위치를 유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정책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첫째,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를 강화하는 동시에 내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하려면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이 중요합니다.

    둘째, 고부가가치 산업과 신성장 동력을 육성해야 합니다. 반도체, 2차 전지, AI 등 첨단 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산업 구조를 고도화해야 합니다.

    셋째,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경제 정책의 연속성과 신뢰를 확보해야 합니다. 정치적 분열을 줄이고 국민 통합을 이루어야 경제 정책 실행력이 높아지고 대외 신뢰도가 강화됩니다.

    마지막으로, 미국과의 협력과 동시에 다각화된 외교 및 무역 정책을 통해 대외 의존도를 줄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국제 경제 환경 변화에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국민과 정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이고 혁신적인 경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미국이 차지하는 경제적 파급력이 너무 커서 미국에 휘둘리지 않고 갈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으며, 이에 따라 트럼프 정책에 최대한 우리나라가 이익을 볼 수 있는 방향으로 협상, 외교 등을 통해 대응할 수밖에 없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