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을 할때 아이와 대화를 먼저하는것이 중요할까요?
훈육을 할떄 아이와 대화를 먼저 하라고 조언을 받았습니다. 혼내는 것은 엄하게 대하는 건데 왜 대화를 먼저 하라고 하는 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훈육을 하나의 대화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훈육이라고 해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대화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에서 대화를 먼저 하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기 위해 중요합니다. 대화를 통해 아이와의 신뢰를 쌓으면 혼내기보다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에서 대화를 먼저 하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문제를 인식하게 도와줍니다. 대화를 통해 신뢰를 쌓으면 아이가 더 잘 받아들이고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할때 아이와 대화를 먼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대화를 통해 아이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문제 본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대화를 통해 아이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모의 지지를 느낍니다. 대화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대화를 통해 아이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종종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므로, 부모가 이를 듣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 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바와 같이 훈육하기에 앞서서 아이들이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정확한 소통을 해주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서 서로의 잘잘못을 따지고 대화로도 해결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아주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아이도 본인의 감정에 공감을 받아야 마음이 진정이 됩니다.
이후에 올바른 감정 표현의 방법이나 행동에 대해서 알려주시는 것이 아이도 받아들이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