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마취, 아프면 잠에서 깨야하지않나요?
자는데 배가 아파서 깬 경험같은게 많은데
이처럼 자는중에도 통증을 느끼면 잠에서 깨게되는데 수면마취를 하면 통증을 느끼지않고 깨지않을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수면마취를 하게 되어도 수면상태가 아주 깊지 않다면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그래서 통증의 정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수면마취를 하더라도 깨어나게 됩니다
물론 마취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통증을 가하더라도 깨어나지 않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내시경 검사 등을 위한 진정 상태와 전신마취는 다릅니다.
전신마취 상태에서는 전신이 이완이 되고 의식이 없기 대문에 심한 통증이 있더라도 깨어나지 않으나 유도제를 맞고 진정 상태에서는 자발 호흡이 있으며 의식만 약간 저하된 상태로 옆에서 하는 말이 들릴 수도 있고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깰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보연 의사입니다.
수면 마취를 하면 통증을 느끼지 않고 잠에서 깨지 않는 이유는 마취제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 신호를 차단하거나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수면 마취제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중 일부는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신경 억제 작용을 강화하고 통증과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소 시킵니다.
이로 인해 몸은 수면 상태에 빠지고 통증 자극이 있어도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수면마취는 일반적인 잠과는 다르게 뇌의 특정 부분에 작용하여, 의식과 감각을 차단합니다. 우리가 자는 동안은 뇌가 일정 부분 깨어있어 몸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자주 깨게 돼요. 그러나 수면마취의 경우, 뇌의 감각을 차단하는 약물이 사용되어 몸에서 일어나는 통증 신호를 뇌가 처리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마취가 걸린 상태에서는 통증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되어, 통증으로 인해 깨어날 필요가 없게 되는거죠
수면마취는 우리가 자는 것과는 다른 깊은 의식이 없는 상태로, 마취제에 의해 뇌가 외부 자극을 전혀 인지하지 않게 되어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므로 잠에서 깨지 않게 되는 원리입니다.
이는 마취가 완전히 풀릴 때까지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해 주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