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는 북서풍 여름에는 남동풍이 부는 이유가 뭔가요?
겨울에서 여름이 오기전 북서풍으로 인해
겨울 특히 봄에 황사가 엄청 심하잖아요
문득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황사는 오지 않는다 생각이 드니
겨울과 여름에 부는 바람의 방향이 다르다는게 떠오르더라구요
겨울 여름에 바람이 방향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지구자전과 태양주위를 도는 공전,그리고 결정적으로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 있어 지구가 공전하는 동안 지구는 태양열을 받는 시간과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것이 계절이 나타나는 이유 입니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붑니다. 북반구기준으로 태양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북반구는 태양열을 많이 받게 되어 여름이 되고 태평양의 덥고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게되어 한반도는 남동쪽에서 북쪽으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겨울에는 태양에서 멀어져 태양열을 받는 양이 적어지므로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의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북서쪽에서 바람이 불어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단에 의한 영향입니다. 여름에는 습하고 온난한 기단이 우리나라를 지배하고 있으며, 겨울에는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이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남동쪽에서 올라온 기단인 북태평양 기단으로인해 습하고 온난해집니다. 겨울에는 북서쪽의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인 시베리아 기단이 넘어오기 때문이죠.
이러한 기단의 세력이 바뀌는 이유는 햇빛의 양에 의한 것입니다. 겨울에는 햇빛의 양이 줄어 북극지방이 더 차가워집니다. 반대로 여름에는 북극지대가 따스해지면서 세력이 약해져 북태평양기단이 북상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것은 대륙과 바다의 표면 온도에 따른 것입니다. 땅은 빨리 데워지고 빨리 식는 반면 바다는 천천히 데워지고 천천히 식습니다. 데워진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되고 그 빈자리를 메우는 방향으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여름은 대륙(중국쪽)이 빨리 데워지고 겨울은 바다쪽이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여름과 겨울에 기압의 차이 때문입니다.
여름은 보통 남동쪽에 고기압이 형성되고, 저기압은 북서쪽에 형성됩니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기 때문에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게 됩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고기압이 북서쪽에, 저기압은 남동쪽에 생기므로 북서풍이 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고기압이 남동쪽 바다 부근에 있으며, 저기압은 북서쪽 대륙 부근에 놓입니다.
따라서 여름에 우리나라에는 남동풍이 붑니다.
반면, 겨울에는 고기압이 북서쪽 대룩 부근에 위치하고, 저기압은 남동왜쪽 바다 부근에 놓이므로, 겨울에는 북서풍이 붑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너지에 따는 기단의 크기가 달라지기때문입니다.
여름철에는 태양의 입사량이 많아져 북태평양의 고온다습한 기단이 크고 풍부해집니다. 이때문에 극지방쪽에서 내려오는 기단을 밀어냅니다.
겨울에는 이 북태평양 기단이 약해져 극지방쪽인 북서쪽대륙에서 차갑고건조한 기단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이에따라 찬바람이 내려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