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북서풍 여름에 남동풍이 부는 이유?
우리나라는 겨울에는 북서풍이 불어오고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어 오는데 이렇게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계절풍은 육지와 해양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겨울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훨씬 차가워져 대륙성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북서풍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여름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더워져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반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남동풍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주된 이유는 태양에
의한 지표면의 가열
차이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에
더 가깝게 위치하여 지표
가열이 강해지고 이로 인해
지표 부근의 공기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상승한 공기가 높은 고
도에서 주변보다 냉각되어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고기압이 형성되어
바람이 고기압 중심에서 외부로
퍼져나가면서 바람이 불게
됩니다
겨울에는 태양의 방위가
낮아져 북반구가 충분한
태양열을 받지 못해 지표
가열이 감소합니다
이 때문에 주변보다 더 빠르게
냉각된 공기가 중력에 의해
지표면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그 자리를 채우려고 이동합니다
회전하는 지구가
생산하는 코리올리 효과는
바람의 방향을 바꾸어
북서풍이나 남동풍으로
만들어줍니다
결과적으로 여름에는
지표 가열로 인해
생성된 저기압 지역으로 바
람이 불어 들어오고 겨울에는
냉각으로 형성된 고기압
지역에서 바람이
불어나가게 됩니다
각 계절에서 지배적인
바람의 패턴은 고기압과
저기압의 위치 그리고 그
사이의 기압차로 결정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육지가 빨리 가열되어 저기압이고 바다가 서서히 가열되어 고기압이므로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남동풍이 붑니다. 겨울에는 육지가 서서히 식으며 고기압이고 바다가 빨리 식으며 저기압이므로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북서풍이 불게 되는것이죠.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기압단이 겨울에는 시베리아기단이
여름에는 남태평양기단이 강하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과 여름에 바람이 다른 방향에서 부는 이유는 지구의 기후와 기상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과 겨울에 부는 바람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여름 (남동풍): 여름에는 한반도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고 남태평양 지역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반도 위에 저기압이 형성되고 북태평양 지역은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흐르기 때문에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게 됩니다.
겨울 (북서풍): 겨울에는 북서쪽의 찬공기가 유입되어 한반도 주변이 추워집니다. 동시에 북태평양 지역은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인 시베리아 기단이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기단의 세력 변화는 햇빛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겨울에는 햇빛의 양이 줄어들어 북극 지역이 더 차가워집니다. 반면 여름에는 북극 지대가 따뜻해지면서 남태평양 기단의 세력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기온, 기압, 태양의 위치 등이 바람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기상 현상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바람의 방향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