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고, 겨울에는 북서풍이 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여름에 습하고 더운 공기를 가진 바람이 불어오는데요. 반대로 겨울에는 차갑고 건조한 바람이 불고요. 어째서 계절에 따라 성질이 정반대인 바람이 발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한국을 비롯한 대륙에서는 여름철에는 북반구에서 온 공기가 더 따뜻하고 습기가 많아져서 바람의 성질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 공기는 더 낮은 곳으로 내려가서 대기 중 습기를 머금은 뒤 여름철에는 한반도로 불어들어 갑니다.

    반면 겨울철에는 북반구에서 온 공기가 냉기와 건조함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공기는 저기압과 고기압 경계에서 상승 기류를 일으켜서 대기 상층으로 올라가고, 그 후 대륙 위를 지나 바다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남쪽 지역으로 바람이 불어들어 갑니다.

    따라서, 한국 주변 해수면의 변화와 대륙 지형, 대기 환경 등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하면서 바람의 방향과 성질이 변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에는 북반구에서 습기가 많은 곳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오면서 더위를 식히는데 기여하는 남동풍이 불게 됩니다. 이는 기압골과 기압계에서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여름철에는 태양이 북위쪽에서 높이 떠 있어 북반구의 대기가 가열되어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로 북위쪽에서는 기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낮아진 기압이 높은 기압지역인 남위쪽으로부터 기압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 때문에 남동풍이 불어오게 됩니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태양이 남위쪽에서 낮게 떠 있어서 대기가 냉각되고, 이로 인해 북위쪽에서는 기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높은 기압이 남위쪽으로부터의 기압차이를 만들어내고, 이로 인해 북서쪽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오게 됩니다. 이러한 기압차이가 겨울철에 더욱 강력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북서풍이 빈번히 일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열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흙과 물의 비열(比熱) 차이 때문에 겨울에는 바다보다 대륙이 더 냉각되어 고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륙에서 바다로, 여름에는 반대로 대륙이 더 가열되어 저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다에서 대륙으로 바람이 부는 것입니다.

    지역에 따라 계절풍이 시작되는 시기와 빈도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우리나라는 여름에는 남서·남동풍, 겨울에는 북서풍이 불게 됩니다. 이 두 계절풍이 발달할 때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배치는 여름에는 남고북저형, 겨울에는 서고동저형이 전형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