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23.07.14

효종의 북벌정책이 실패한 까닭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효종은 북벌정책을 실행하고 군사력을 키웠으나 그의 북벌정책이 실패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벌 계획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북벌을 위해 군사력을 키우려면 세금을 많이 걷어야 했는데 이것은 두 차례나 전쟁에 시달린 백성의 부담을 증가시켰기 때문입니다. 결국 북벌 정책은 실행에 옮기지 못한 채 효종의 죽음으로 10년 만에 끝을 맺고 말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효종은 인조의 삼전도의 굴욕을 설욕하고자 청나라를 칠 계획인 북벌정책을 펴 왔습니다. 청나라의 요청으로 2차례에 걸친 나선정벌로 전술과 조총술을 익히게 하고 대동법을 실시하여 군량미를 비축하는 등 10여년의 공을 들여 이완을 어영대장으로 임명하여 준기하였으나 북벌을 눈앞에 두고 병으로 승하함으로써 그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 이후에도 조선의 집권층이나 유학자들 중에는 여전히 청을 오랑캐의 나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조선은 문화가 높지만 청은 문화가 낮은 야만인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들은 병자호란 때 오랑캐인 청을 황제의 나라로 받들겠다는 약속을 매우 부끄럽게 여겼다.


    따라서 부끄러움을 씻어내기 위해서라도 청을 정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북벌론이라고 한다. ‘북’은 곧 조선의 북쪽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청을 가리킨다.


    특히 병자호란 때 청에 인질로 끌려갔다가 귀국한 봉림 대군(효종)은 북벌에 대한 의지가 컸다. 그는 아버지인 인조의 뒤를 이어 임금의 자리에 오르자마자 북벌 준비에 들어갔다.


    당시 청에 대해 강경론을 펴던 송시열, 이완, 김집 등을 관리로 등용했고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남한산성과 수어청을 새롭게 정비하고, 중앙군의 수를 1만 명으로 늘리기도 했다.


    당시 바다에서 길을 잃고 표류하다 조선에 흘러들어 온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이 군사 지식을 갖고 있음을 안 뒤에는 그를 시켜 조총을 개량하게 했다.


    효종은 10년 동안 10만 명의 군사를 길러 준비한 뒤 청을 정벌하자고 했지만 모든 신하가 찬성한 것은 아니었다.


    임금의 권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염려한 신하들, 북벌 준비로 인해 백성들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염려한 신하들은 북벌론에 반대했다.


    하지만 신하들이 반대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효종의 북벌론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계획이었다. 청은 이미 명에 이어 중국 전체를 지배하는 강한 나라로 성장했기 때문이었다.

    출처 : 한국사 사전2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효종의 북벌계획이 실패한 이유는

    첫째, 기득권층인 조선 사대부들의 실질적인 참여가 없었다는 점.

    둘째, 이미 40년에 걸친 네번의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막심하다점.

    셋째, 청나라가 전성기로 상대적으로 조선의 국력은 한계가 있었다는 이유입니다.

    결국 효종의 북벌계획은 명이 청나라에 멸망하고, 1659년 효종의 죽음과 함께 무산되고 말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