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지금도 여전히 그 기능을 다할 수 잇는지 궁금해요?
측우기를 보는 건 몇차례 봤었는데 이를 통해 빗물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궁금한데요.
현대 사회에 와서도 이것으로 빗물을 측정하는 것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측우기의 원리는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측우기는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유리 구슬 안에 알코올이나 수은 등의 액체가 들어있는 기기로, 대기압 변화에 따라 물속에서의 부유 원리와 비슷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대기압이 높아지면 구슬 안의 액체도 함께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슬 안의 공기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대기압이 낮아지면 구슬 안의 액체도 함께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슬 안의 공기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구슬 안의 공기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구슬 안의 액체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측우기가 작동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늘날의 강수량 측정은 과거 측우기의 원리와 동일합니다.
측우기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세계최초의 강우량을 재는 기계입니다.
측우기는 빗물을 받는 원기둥 모양의 그릇인 측우기에 고인 빗물을 측정하는 눈금자인 주척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만일 크기가 다른 두 측우기로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빗물을 받으면 신기하게도 비의 높이는 동일하게 측정됩니다. 즉 빗물이 들어오는 원의 입구의 크기가 달라도 강수량은 같다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측우기는 빗물을 받아 자(주척)를 넣어 젖은 부분의 높이를 재는 비교적 간단한 원리로 되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