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5.03

RSI 지표와 해석에 대해 궁금합니다.

RSI 지표로 매수 매도를 결정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해서

RSI 지표를 알고 싶은데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판단을 어떻게 하는건가요?

RSI 지표가 무엇인지랑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간단한 예시가 있으면 이해가 쉬울거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래 주가의 강세 및 약세를 전일 대비의 주가 변화의 비율로 예측하려고 하는 지표이다. 과거 일정 기간의 가격 상승폭의 합계에 대한 같은 기간 내의 가격 상승폭과 가격 하락폭의 절대치 합계(분모)의 백분비로 구해진다. 경험적으로 80%이상은 천정으로 매도 영역, 25% 이하는 바닥권으로 매입 영역을 나타낸다. 투자 심리선이 전일 비 근소한 상승 혹은 대폭적인 상승의 어느 것이나 같은 1승으로 취급한 것에 반해서 상승폭, 하락폭의 정도에 의해서 계산치에 비중을 부가한 점이 다르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SI 지표는 상대강도지수로,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입니다.

    RSI 지표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RSI 보조지표에는 30%에 하단선, 70%에는 상단선이 존재합니다. 70%의 상단선을 돌파하면 과매수 국면에 돌입했다고 말하며, 매도해야하는 시그널이라고 합니다. 30% 하단선에 접근하면 과매도 국면에 돌입했다고 말하며, 매수해야하는 시그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SI라는 것은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서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주식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14일 이동평균을 기반을 계산하게 되며 주식 가격의 상승 기간 동안의 평균 상승폭과 하락 기간 동안의 평균 하락폭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RSI는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는데, RSI가 70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주식이 과매수 상태로 판단하게 되고 RSI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러한 RSI지표를 통해서 해당 주식에 대한 과매수나 과매도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과매수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주가가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지표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RSI가 보통 0~10점대에 머무르게 되는 것은 '패닉셀'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RSI가 조금씩 상승하게 되면 매수우위가 점해지면서 보통 주가나 코인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