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에 쓰이는 매너리즘은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제가 알고 있는 매너리즘과 미술에 관한 문헌에 쓰이기 시작한 매너리즘은 다른 의미인가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20년경부터 17세기 초 주로 회화를 중심으로 유럽 전체를 풍미한 미술 양식으로 매너리즘이라는 용어는 17세기 이후부터 미술에 관한 문헌에 쓰이기 시작했으며 역사적, 비평적 의미가 함축된 복합적인 의미로 문학 비평 및 신학에도 통용되었습니다.
보통 미술사의 시대 구분에서 르네상스 미술, 바로크 미술로 이행하는 사이 이탈리아에서 나타난 과도기적 미술양식으로 성숙기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쇠퇴를 뜻하거나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을 일컬으며 성숙기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이러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는것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스타일, 양식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마니에라에서 유래, 개성적인 양식이 아닌 모방이나 아류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매너리즘(영어: Mannerism, 이탈리아어: Manierismo 마니에리스모 )은 르네상스 미술의 방식이나 형식을 계승하되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매너 혹은 스타일)에 따라 예술작품을 구현한 예술 사조를 말합니다. 후대에 이들의 미술을 ‘매너리즘’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만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따라 그렸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정적인 의미로도 쓰였는데 1520년 라파엘로가 죽은 후 회화에는 더 이상 고전적인 작품은 없다고 말하기도 했을 정도인데 상당한 기간 동안 뵐플린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매너리즘을 말기적 또는 퇴폐적이고 이고 비창의적인 것으로 과소평가했다고 합니다. 즉 매너리즘은 르네상스가 끝물이던 시기에 등장한 허접 예술가들 정도로 평가했다는 얘기로도 해석 가능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매너리즘 > 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신선미와 독창성을 잃는 일을 의미합니다.
이탈리아로 마니에리스모 라고 하며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나타났습니다.
타성이라는 말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타성은 오래되어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 혹은 오랫동안 변화나 새로움을 꾀하지 않아 나태하게 굳어진 습성을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매너리즘은 빠지다 라는 말은 타성에 젖다와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매너리즘은 하나의 미술양식을 가리키는 말로 17세기 이후부터 미술 관련 문헌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며 예술 비평에서 통용되는 단어이기도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매너리즘(영어: Mannerism, 이탈리아어: Manierismo 마니에리스모)은 르네상스 미술의 방식이나 형식을 계승하되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매너 혹은 스타일)에 따라 예술작품을 구현한 예술 사조를 말한다. 후대에 이들의 미술을 ‘매너리즘’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만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따라 그렸기 때문이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