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 지게는 옛날 언제 부터 사용하였나요?
우리나라에서 지게는 아주 오랜 옛날 부터 사용한 것 같은데요
등에 지는 지게는 땔감이나 다른 짐을 나를 때 요긴하게 썼던 도구로 저도 예전에 시골에서 지게를 한번 지고
나무를 조금 운반 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이렇게 당시에는 꼭 필요했던 우리나라 지게는
옛날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게는 무엇을 진다는 "지"에 접사 "게"로 이루어졌는데 확실한 시기는 알수없지만 우리나라에서 5,6세기부터 사용한것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유적에서 나온 "지게진 인물상"등이 그 증거입니다 옛적에 가난한 사람이 죽으면 거적이나 멍석에 말아서 지게에 지고 날랐으며 이것을 지게송장이라고 불렀다고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게의 최초사용 기록으로는 1690년 <역어유해>에 배협자(背狹子)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유물로는 무안 양장리 유적에서 지겟자루가 출토되었고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도 지게의 부품인 지게 발채가 무더기로 발굴되었다고 하는데여.학계에서는 <위지 동이전>의 삼한조에 "나라 안에 공사가 있거나 관가에서 성을 쌓을 때는 용감하고 건장한 젊은이가 모두 등가죽을 뚫어 큰 새끼줄로 한 발(丈)이나 되는 나무를 꿰매고 온종일 외치며 일을 하며 아파하지도 않으며 그것으로 일 잘하고 건장한 것으로 여긴다."는 기록을 지게를 묘사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여. 이로 미루어보면, 최소 AD3세기경 삼한 시대부터 쓰인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