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순한관박쥐231
순한관박쥐231
25.04.14

우리나라에서 요일이 언제 생겼나요?

우리나라에서 월화수목금토일 요일이 생긴것은 언제 부터인가요? 조선시대때 무슨 요일 그렇게 하면서 날짜를 세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일주일이 7일로 정해진 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7일마다 재액 일이 온다고 믿었고, 기원전 7세기경에는 7일 주기로 쉬는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그들은 날마다 밤하늘을 관찰하며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는 행성들을 찾아내기 시작했는데, 이들 행성은 태양, 달, 수성, 목성, 금성, 토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이 행성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들 각각에 대해 시간을 지배하는 힘을 부여했습니다. 결국 이 7개의 천체에 이름을 붙이고 이를 바탕으로 요일이 생겨났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요일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월화수목금토일'의 명칭은 서양식 요일 구분법이 동양으로 전해지면서 각 요일에 음양오행의 명칭이 붙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