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직장인 투자전략 연금저축과 etf투자?
평균 수명 연장과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때, 30대 중반 직장인이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연금 저축'과 'ETF 투자' 중 어떤 전략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까요? 각 방식의 장단점과 함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중반이면 이제 슬슬 노후 준비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죠.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서 당장 세금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장기로 묶어두니까 강제로라도 노후 자금이 쌓입니다. 대신 중간에 꺼내 쓰기 힘들다는 게 답답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ETF 투자는 유동성이 좋고 테마나 섹터를 고를 수 있어서 재미도 있는데, 시장 변동성이 크니까 멘탈이 흔들리면 오히려 손실로 끝날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두 가지를 반반 섞는 게 낫습니다. 세제 혜택은 챙기면서도 ETF로는 시장 감각을 익히고 자산을 불리는 거죠. 연금저축은 최소 세액공제 한도만큼은 채워두고, ETF는 여유자금으로 꾸준히 분할 매수하는 식으로 가는 게 현실적인 포트폴리오라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중반 직장인이면, 아직 20년 넘게 근로를 해야할텐데요. 또한, 노후대비까지 고려했을때 연금저축펀드를 통한 ETF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지 말고 한꺼번에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30대 직장인의 투자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노후를 위해서 연금저축을 일찍 시작하시는 것은 좋지만
연금저축은 만 55세가 되어야지 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시고
적절한 액수를 정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주식, 코인, 채권, 금 등 다양한 투자처로
분산해서 투자를 하시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연금저축과 ETF투자를 나눈것에 대해서 다소 잘못계상하신것 같습니다 연금저축은 그냥 계좌이지 투자방식이 아닙니다. 연금저축으로 ETF투자가 가능합니다.
즉 두개는 비교할수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야기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연금저축은 절세상품이며 연금저축을 통해서 ETF투자를 하면됩니다. 그리고 ETF는 많은 상품이 있고 이를 토대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것이지 계좌만 여러개 가입하는게 포트폴리오가 아닙니다.
최적의 포트폴리오는 연금저축을 가입하고 해당 연금저축내에서 ETF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입니다. 연금저축내에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상하라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비과세가 되기 떄문입니다. 이에 글로벌 채권이나 국내채권 만기 10년이하의 상품을 40~50%로 구성하고 나머지 15%는 국내주식형 상품 ETF 글로벌 주식 지수형 상품ETF 에 대해서 20~40%비중이내로 투자를 하시고 나머지는 리츠나 금과같은 대체자산형 ETF로 편입하셔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