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에 올인하는 재테크 플랜 어때요?
최근에 500에 대해서 알게 되서 그냥 여기다 모두 올인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그동안 뭣도 모르고 들은 개인 연금이 3개 있는데 다 그냥 중도 해지하고 받은 금액 500에 묻어두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1억 전세인데 이거도 계약 끝나면 월세로 전환해서 8천 정도는 500에 묻으려구요. 그리고 월급의 반도 여기에 매월 묻으려구요. 어차피 어느 투자나 다 리스크가 있다면 여기가 그래도 가장 적고 또 리턴도 높다고 보여져서요. 제가 재테크는 크게 관심 없고 소같이 일하는 스타일이라 이게 가장 잘 맞는 플랜 아닐까 하는데요. 위험 요소등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 추종 투자 방식은 개인 종목 투자보다 안정적인게 사실입니다. 글로벌 경제 성장이 장기간 침체되지 않는 한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여줄수 있습니다. 다만 지수 추종 투자는 운용 수수료가 일부 든다는 점과 한가지 상품에 올인 투자했을때의 리스크를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위 내용은 투자 자문은 아니오니 신중하게 판단하여 투자하시길 권유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일한 분이시네요..^^
모든 자금을 하나의 상품에 집중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S&P 500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는 대신,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신, 월배당 ETF와 같은 다양한 투자 옵션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 또는 JP모간 나스닥 주식 프리미엄 인컴(JEPQ)등의 ETF를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안정적인 월 수익을 얻으면서도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인 연금의 중도해지와 주거 형태 변경에 대해서는 신중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명 평가S&P 500 지수에 투자하는 것은 좋은 선택일 수 있지만,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분산투자를 통해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견디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셋째, 투자 목표와 기간을 명확히 하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수수료와 세금을 고려해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손실 가능성을 인지하고 대비해야 하며, 개인연금은 중도 해지보다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S&P500 지수 추종 상품 개인연금저축은 올인 한지 몇년 됐습니다 가장 안정적이고 확률 높은 투자라고 생각하거든요 장기투자로는 이게 제일 좋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물론 현재까지 수익률도 좋습니다
10년이상 투자가능하시다면 올인해도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워렌 버핏도 본인 사후에 이 지수에 투자하라고 했습니다. 그만큼 안정적이면서도 향후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 번에 몰빵으로 매수하지 마시고 분할매수에서 장기 보유하신다면 괜찮은 투자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