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에 좋은 식단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알려주세요.
당뇨병까지는 아닌데 당뇨주의를 건강검진에서 받았습니다. 혈당을 조절하려면 과학적으로 어떤식으로 행동해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단음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드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당은 근육에 저장하게 되는데, 근육량이 줄어들게 되면 혈당조절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그래서 하루에 30분 이상 근력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탕과 같이 단음식은 최대한 피하시고, 단음식을 드신다면 인공감미료(아스파탐)정도 소량 추가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당뇨가 있는 경우 당수치를 올릴수 있는 당분이 많은 음식이나 탄수화물 음식 및 단과일은 피하고 당흡수를 지연시킬수 있는 잡곡밥 및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위주의 식단을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당뇨 식단은 특정 영양소에 집중하기보다는
채소, 과일 같은 식물성 식품과 해산물, 닭고기 등의 저지방 육류를 곁들인 지중해식 식단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과식을 하지 않는 것이고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당뇨의 대부분은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이 저하된 2형 당뇨입니다. 당을 섭취하면 혈당을 세포내로 운반하기 위해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당이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져 세포 내로 당이 운반되지 못하고 혈액에 떠다니는 상태가 2형 당뇨입니다.
따라서 2형 당뇨를 예방하기 위해서 당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기 때문에 쌀밥 대신 현미밥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복시간도 중요하기 때문에 12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GI지수라는게 있습니다. GI 지수가 높은 음식은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그만큼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합니다. 당뇨의 진행과정에 인슐린 저항성이 그 원인인 만큼 인슐린이 계속 높은 농도로 나오게 하는 음식은 안드시는게 좋습니다.
정제탄수화물류들은 되도록 피하시고 현미, 채소식 위주 식단과 차전자피 같은 식이섬유 복용도 도움이 됩니다. 다공성 구조의 식이섬유들은 당을 잡고있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의 당이 흡수되지 않도록 막아주거든요.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혈당을 조절하려면 과학적으로 일단 혈당이 빠르게 전환되지 않게끔 해줘야 합니다. 즉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대사가 빨리 진행되어 단당류 형태로 혈당이 전환되지 않도록 하는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당뇨 주의라면 혈당이 조절이 안된다기 보다는 신진대사 및 대사성 질환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 및 식단 조절을 하시면 대부분은 회복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