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에서 심실의 재분극 순서에 대한 질문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심장의 탈분극을, 빨간색은 심장의 재분극을 나타낸 것인데 심전도에서PQRS는 탈분극, T는 심실의 재분극(빨간색으로 표시)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재분극은 탈분극이 되고 나서 바로 일어나는 것 아닌가요? 그럼 12345로 진행됐으니까 재분극도 12345로 돼야 되는데 왜 갑자기 빨간 부분이 재분극이 가장 먼저 돼서 그게 그래프에 T로 표기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장의 재분극 과정은 실제로 심실 탈분극(심장 수축) 후에 일어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이 재분극 과정은 탈분극이 진행된 순서와 반대로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관련된 생리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탈분극은 심방에서 시작하여 심실로 전파됩니다. 이는 PQRS 복합체에 의해 심전도 (ECG)상에 나타나며, 심실의 급속한 탈분극을 나타냅니다. 심실 탈분극은 대체로 심장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며, 이는 전기적 자극이 심실의 아래쪽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재분극은 탈분극의 순서와 반대로 일어납니다. 즉, 심실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전파됩니다. 이 과정은 T파로 심전도(ECG) 상에 나타납니다. 재분극이 탈분극의 순서와 반대로 일어나는 이유는 심실 벽의 재분극 속도가 불균일 하기 때문입니다. 심실의 외벽(심실의 상부에 해당)이 내벽(심실의 하부에 해당)보다 빨리 재분극하기 시작합니다.
재분극은 심실이 다음 심장 박동을 준비하는데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심실 근육은 다시 이완되고, 심실 내로 혈액이 채워지며, 심장은 새로운 수축을 준비합니다. 재분극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날 경우 다양한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분극이 탈분극이 진행된 순서와 반대로 진행되는 것은 심장의 전기적 및 기능적 특성에 원인이 있습니다. 이는 심실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된 부위가 가장 늦게 재분극되고, 가장 나중에 탈분극된 부위가 가장 먼저 재분극되는 패턴을 따릅니다. 이러한 재분극의 순서가 심전도에서 T파로 표현되며, 이는 심실 재분극의 완료를 나타냅니다.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심장은 심장속막, 심장 근육층, 심장 바깥막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T파는 심실의 재분극 시 변하는 전위 때문에 발생하고(심방도 재분극시 파를 발생시키지만 진폭이 약하고 QRS파와 비슷한 시각에 진행되어 겹쳐서 측정이 거의 불가)
재분극 시 T파가 +방향으로 발생하는 이유는 실제로 -극성이지만 파형의 방향이 탈분극과 반대로 심장 외막에서 내막 방향으로 재분극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의문을 가지신 것에서 빨간 화살표는 심실의 재분극만을 말합니다.
심방은 생각하시는 것처럼 탈분극과 재분극의 방향이 일치합니다.
심실 심근의 경우 빨간화살표 처럼 탈분극과 재분극의 방향이 반대입니다.
심실만의 특이한 현상입니다.
심실의 심장바깥막의 아래쪽에서 시작되어 심장 속막으로 진행합니다.
이에 대해서 정확한 이론은 잘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좌심실은 두꺼워서 내막과 외막의 압력차이가 많이 나고 이로 인해 심실 아래쪽 내막의 흥분시간이 더 길어서 심장바깥막의 아래쪽에서 먼저 재분극이 일어나는 것이라는 추론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총을 쏘는 과정이 PQRS과정이라면 총알을 장전하는것 과정이 T 입니다. 총알이 장전되어 있어야 총알을 발사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총알이 장전되는게 1번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