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 전 오사카 여행을 갔다왓는데요 일본에 사람들이 엄청 많던데
몇일 전 오사카 여행을 갔다왓는데요 물론 벗꽃 시즌이긴 하지만 여행객들이 엄청 많더라구요 이정도면 일본 경제가 그렇게 나쁠것 같지도 않던데 엔화도 최저치고 어떻게 이렇게 경기가 장기간 침체된건가요? 전세계 사람들의 여행객이 이렇게 많이 오던데 어떻게 경기가 침체될수가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제 상황과 관광산업은 다소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은 장기적인 deflation과 저성장 기조에 있었지만, 관광산업은 꾸준히 호조를 보였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입니다.
1. 엔저현상
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에게 일본 여행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졌습니다.
2. 교통 발달, 안전성
일본의 발달된 교통 인프라와 치안 良好로 관광지로서의 매력이 높았습니다.
3. 정부 정책
일본 정부는 관광진흥정책을 적극 추진해왔습니다. 비자 완화, 관광 프로모션 등을 펼쳐왔죠.
그래서 경기 침체기에도 관광객 수는 지속 증가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전체 경제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습니다. 제조업, 수출산업 등의 부진이 장기간 경기침체를 초래한 주된 원인이었죠.
결국 관광객 증가만으로는 전체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이 일본의 상황입니다. 관광과 기타 주력 산업의 동반성장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아무래도 임금도 상승하지 않고 기업들의 매출도 늘지 않으며
물가도 거의 오르지 않는 등 이에 따라서 발전이 없었던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장기간 제로금리샹태로 장기저성장에 묶여있었습니다. 엔저로 여행산업은 활발하지만 국내경제는 오랜기간 디플레이션에 빠져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엔저 현상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는 하나, 일본의 경제주체들의 소비 등을 쥴이면서 경기 침체가 발생한 것입니다.
기업과 소비자의 지출 둔화로, 기업과 가계는 40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인플레이션, 엔화 약세, 식품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행객이 많이와서 그나마 경제를 유지했던 것이고 그만큼 80년대 부동산 버블이 매우 심했다는 반증입니다
순식간에 자산가치가 폭락하면서 당시에 버블을 아직도 메꾸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시 도쿄에 있는 부동산을 모두 매각하면 미국을 살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본의 경우에는 역대 최저라고 할 만큼 엔저가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다른 국가에서 엔저로 인해서 관광 수요가 급증한 상황이기 때문에 여행객이 많지만 기존에는 엔화의 환율이 높았던 시기에는 내수 시장의 침체가 이루어지다 보니 경기침체가 장기화되었던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박성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침체이긴하지만 내수시장이 충분하므로 어떻게든 돌아갑니다. 보신대로 관광시장도 한국보다 훨씬큽니다. 장기침체는 일본구조적인 문제이지만 한국보다는 상황이 좋다고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일본의 부동산 가격은 급격히 상승했고, 이후 붕괴하면서 경제 시스템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일본 은행들은 부동산 버블 시기에 과도한 대출을 해주었고, 이후 부동산 가격 붕괴로 인해 많은 부실 채권을 떠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본 기업들은 과거의 성공에 안주하여 새로운 기술 개발과 혁신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 중 하나이며, 이는 생산성 감소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저해합니다
달러가치의 하락을 위한 엔화 가치 상승도 일본 수출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프라자 회의 이후 일본 경제 성장은 크게 둔화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행객의 증가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긍정적인 요소일 수 있지만, 현재의 경기 침체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엔화의 최저치는 수출산업의 침체와 미국과의 무역 분쟁 등의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여행 제한과 소비 감소도 경기 침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여행객의 증가와 경기 침체는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발생한 현상이며, 경제의 복잡성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