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추억의발라드
추억의발라드

요즘 노인들 일자리가 많이 늘고 있는데요 건설현장 시공하는데 특급 감리원의 경우 건강하다면 보통 몇살까지 취업할 수 있을가요?

요즘 노인들도 나이가 먹었다고 그냥 놀고만 있을수는 없습니다 노인 일자리가 많이 늘고 있는데요 건설현장 시공하는데 시공 업무를 감리하는 특급 감리원의 경우 건강하다면 보통 몇살까지 취업할 수 있을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특급 감리원으로 취업할 수 있는 나이는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60대 후반부터 70대 초반까지도 활동이 가능합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경험과 전문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건강이 뒷받침된다면 나이가 많아도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다만, 체력적인 부담이 있는 경우 현장보다는 관리나 감리 업무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특급 감리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60~65세까지도 취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정년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건강하시다면 충분히 늦게까지 취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전기 일을 할 당시에 감리 같은 경우는 정말 나이 많은 분들도 많았어요

    몇살까지라고 정의할 수 없는 이유가

    현장까지 와서 현장의 확인할 수 있는 기력만 있으면 90살이든 100살이든 가능합니다

    그래서 정말 퇴직이 없는 자격증이라고 현장에서 말들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특급 감리원은 고도의 기술과 경험이 요구되는 직종으로 연령보다 건강 상태와 업무 능력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인 일자리 수요가 늘면서 건강하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감리원이라면 60대 후반에서 70대 초반까지도 충분히 취업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특급 감리원은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을 관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체적 건강만 뒷받침된다면 고령에도 활발히 일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장마다 요구 사항이 다를 수 있으며 체력적인 부담이 큰 일부 현장은 나이에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건강만 하시다면 나이제한은 딱히 없습니다. 감리경력많으신 분들이 엄청나게 많은 편은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감리분들 관리감독 하시면서 지어지는 건축물을 보시면 뿌듯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전력기술관련하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기술자이며, 연령에 상관없이 일을 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지속적인 일은 가능합니다.

    다만 나이도 인해 고용주가 고용을 하지 않게 되면 일을 못하는데 보통 이건 고용주의 나름대로

    기준이 있기 때문에 상황과 회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건설현장에서 특급 감리원의 경우 법적으로 정해진 정년은 없지만, 건강 상태와 경험에 따라 70대까지도 활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감리 업무는 전문성과 경험이 중요한 직무이기 때문에, 적절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존의 경력을 잘 활용할 수 있다면 연령에 크게 구애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고령자의 경우 체력적 부담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의 건강 상태와 작업 환경을 잘 고려하셔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건설 분야에서는 감리원의 경험과 전문성이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업무 능력이 뛰어난 경우라면 나이에 상관없이 취업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특히 특급 감리원의 경우에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면 더욱 긍정적입니다. 다만 고령층 감리원의 경우 현장 경험과 함께 체력적 요구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업계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관련된 기관이나 기업의 채용 기준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