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새침한바다표범185
새침한바다표범18522.01.24

왜 코인은 거래소마다 수수료가 다 다른가요?

주식은 각 증권사 어플마다 매수 매도 할때 수수료가

거의 동일한데 코인은 그렇지 않더라구요

어떤 거래소에는 있는 코인이

또 다른 거래소에서는 아예 거래되지 않기도 하구요..

새로운 세계네요ㅎㅎ

정해진 수수료는 따로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수수료는 거래소에서 자체적으로 정하는 것이지 따로 정해진 룰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상장의 기준이 거래소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당연히 상장된 코인도 거래소마다 다를 수 있으며 특정 거래소에 특정 코인이 상장된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해 엄청난 상승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주식도 증권사마다 수수료가 다 다릅니다.

    어떤 증권사는 이벤트를 통해 무료이기도 하고 어떤 증권사는 소액을 받지만 다른 증권사는 그에 비해 많이 받기도 합니다.

    아마 질문자님께서 주식을 거래 할 때 거래세가 수수료와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혼동하셨을 수도 있습니다.

    거래세는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증권사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코인 같은 경우는 거래세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수수료만 보여서 더 달라 보였을 것입니다.


  • 주식은 한국거래소 및 금융위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주체가 분명하는 반면 코인은 그렇지가 못합니다.

    수수료 및 상장 종목도 제각기 다르기때문에 단독 거래소에서 시행을 합니다.

    따라서 수수료도 틀리고 상장종목도 상이한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잔망루피입니다.

    증권사 별로 수수료가 비슷해지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증권사는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죠. 그래서 수수료를 서로 낮추다 보니 현재 상황까지 오게 된거죠. 코인 거래소는 증권사와는 조금 다릅니다. 일딴 말씀하신바와 같이 거래되고 있는 코인의 종류가 다르죠. 그래서 이용자들이 수수료 보다는 상장된 코인에 맞춰 거래소를 이용하게 되게 되고, 거래소는 수수료를 낮춰가며 경쟁해야 할 필요성을 못느끼는 겁니다. 그럴 시간에 사용자들이 원하는 코인을 상장 시키는 편이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겠죠. 시간이 지나면 수수료는 어느정도 비슷해 질것으로 예상하나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수수료는 아직 차이가 발생하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각자도생 체제이기 때문입니다.

    즉, 모든 코인 거래소가 동일한 지휘를 받는것이 아닌 각자의 계산으로 운영되다보니.

    A라는 거래소가 양보다 질로 승부를 한다면, 반대로 B라는 거래소는 질보다 양으로 승부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A라는 거래소는 정밀 차트와 정보지를 활용한 고품격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수수료가 높고.

    반대로 B라는 거래소는 허접한 거래시스템과 무가지를 서비스하는 대신 수수료가 낮을 수 있고.

    또 반대로 C라는 거래소는 소수정예로 원활한 서버를 보장하는 대신 수수료가 높을 수 있고.

    또 반대로 D라는 거래소는 최대한 많은 회원을 받아들여, 거래 속도는 다소 낮은 대신 박리다매로 최저의 수수료를 제공할 수 도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거래소는 각자의 계산과 판단으로 수수료를 결정하기에. 모든 거래소의 수수료가 동일하기는 힘들고.

    대신 이러한 시장 흐름속 점유율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정도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증권사도 수수료가 다 같진 않습니다. 매수도 시 관련 세금이 같습니다. 코인의 경우도 거래소별로 수수료가 다를 수 있고 고객의 등급별로도 다를 수 있고 심지어 코인별로도 다를 수 있습니다. 원화 거래가 가능한 거래소는 금액 대비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떼어가고 외국 거래소는 거래한 코인을 수수료로 떼어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울러 각 거래소마다 상장되어 있는 코인의 종류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메이저 코인은 대부분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업비트와 빗썸 정도면 왠만한 코인 거래에 큰 문제가 없을 겁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도 사실 수수료가 비슷비슷합니다. 하지만 주식처럼 뭔가 제도화 되지 않았고 하다보니 각자의 거래소 스타일 마다 조금 상이한 것 뿐입니다. 마치 증권사와도 비슷하죠.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25

    안녕하세요. 황성필 변호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코인 관련 규율된 업권법이 별도로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특정금융정보법에 근거를 두고 있기는 합니다만, 업권법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강제로 통용되어야할 수수료는 별도로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처럼 통합관리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거래소마다 거래하는 코인 종류도 다르고 가격도 다릅니다.

    몇년 전에는 김치프리미엄이라고 해서 국내 거래소 가격이 많이 비싸게 거래되면서 해외거래소에서 사서 국내 거래소에서 팔아 남겨 먹는 장사가 유행하기도 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민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이 아직 제도권 내에 다 들어온게 아니기때문에 주식과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기에는 아직 어려운 단계입니다.

    모든게 다 거래소의 자유이기때문에 거래가능한 코인 중 무얼상장할지도 거래소 마음, 수수료도 거래소 마음!

    그래서 다양한 거래소를 뚫어놓는게 좋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거래소도 뚫어놓는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코인 거래소의 수수료에 대한 별도의 법률 규정은 없습니다.

    사업자의 임의대로 수수료를 받고 있기 때문에 거래소마다 수수료가 다른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