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시뻘건멋돼지138
시뻘건멋돼지138

하여가 형식적 요소랑 사회문화적 가치 알려주세요

하여가 형식적 요소좀 알려주세요ㅠㅠㅠ 형식적 요소는 아무리 찾아보아도 나오지 않네요 하여시의 사회문화적 가치도 알려주세요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의 하여가의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如此亦如何 (여차역여하) - 이런들 어떠하며

      如彼亦如何 (여피역여하) - 저런들 어떠하리

      城隍堂後垣 (성황당후원) - 성황당 뒷담이

      頹落亦何如 (퇴비역하여) - 무너진들 어떠하리

      吾輩若此爲 (오배약차위) - 우리도 이같이 하여

      不死亦何如 (불사역하여) - 죽지 않은들 어떠하리

      원문은 한시의 형태로, 5언 6구로 이루어진 소율(小律)의 형태를 따르고 있는 근체시입니다.

      이것이 포은집(정몽주의 글을 모은 책) 속에 전해 내려오다가 후대 광해군 시절에 심광세가 고시조 형태로 번역하였다 합니다.

      이유는 너무 성리학에 매몰된 학자들이 사대주의로 인해 우리의 시는 연구하지 않고 한시만을 고집하는 모습에 우리 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며, 번역하여 내놓았다고 합니다.

      이런들 엇더하며 져런들 엇더하료

      만수산(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하리

      우리도 이갓치 얼거져 백 년(百年)까지 누리리라

      ('아래 아'는 키보드 표기법을 몰라 발음대로 적었으니 양해바랍니다.)

      형태적 갈래는 평시조이자 단시조에 속하고, 내용적으로는 서정시에 속합니다.

      하여가는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이 고려의 충신이었던, 정몽주에게 고려왕조를 고집하지 말고, 자신과 함께 새로운 세상에서 천수를 누리자고 회유하기 위해 보낸 글입니다. 이에 정몽주가 단심가로 자신의 충정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답가를 함으로써 결국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이방원의 측근인 조영규에게 죽임을 당하고 맙니다.

      봉건사회의 대부분의 혁명이 역성혁명이었는데, 이성계와 그의 아들 이방원은 민심을 수습하고, 그 정당성을 학자이자 충신이었던 정몽주에게 인정받으면서 덕과 인을 갖춘 성군임을 인정받고 조선의 건국을 선포하려 하였으나 마음대로 되지 않았던 사건이었습니다. 그가 죽은 후 3개월 후에 조선 건국이 선포되었고, 고려는 기억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여가는 설의법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설의법은 누나가 충분히 알 수 있는 사실을 의문 형식으로 표현하여 강조하는 방법입니다.

      하여가에서 '~하리'가 설의법입니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처럼 얽혀 백년까지 누리리라

      내용상 이런들 저런들 만수산 드렁칡이 얽히든 상관없다고 표현하면서도 뒤에 의문형식을 취해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