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물일가의 법칙은 현실에도 적용될 수 있나요?
일물일가의 법칙은 품질이 같은 상품은
결국 하나의 가격으로 귀결된다를 말하는데
예전이나 지금이나
정보의 격차, 지리적 차이 등에 의해서
동일품질의 동일상품이더라도
가격의 차이는 있을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실제 일물일가의 법칙이 현실적으로 적용되려면
어떤 환경변수를 고정시키거나 배제해야
적용이 가능한 이론인가요?
일물일가의 법칙이
현실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경제법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물일가의 법칙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모든 환경이 동일해야 하는데, 그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일물일가의 법칙은 현실적으로 거의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물일가(一物一價·Law of one price) 법칙이란 말 그대로 동일한 한 물건은 하나의 가격으로 거래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완전 경쟁이 이뤄지는 시장이라는 전제가 반드시 필요 합니다. 완전경쟁 상황이라면 동일한 제품이 다른 나라에서 판매되더라도 같은 가격에 판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현실 세계에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이발, 교육과 같은 서비스 상품은 국가 간 교역이 이루어지기 힘든 재화입니다. 이런 비교역재는 나라마다 상당한 가격 차이가 나더라도 교역이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제품 가격이 그 나라의 사정에 따라 제각각 결정되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위 법칙과 같은 경우에는 현대사회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많은 인터넷 시장 등이 구성되며 세계가 너무 커졌기에 어려워졌다고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물일가의 법칙이라는 것은 품질이 같은 상품에 대해서는 하나의 가격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현실에서는 품질이 동일하더라도 생산원가가 다를 수 있다 보니 실제로 적용되기는 어려워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물일가의 법칙은 개방 경제 사회에서는 적용되기 힘든 법칙입니다.
그 이유는 서비스 상품의 경우에는 국가 간 교역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불완전한 시장구조와 더불어 비교역투입재 등의 요인으로 일물일가 법칙은 현실에서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실 세계에서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이유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우선, 자유롭게 상품을 교역할 수 있다 하더라도 무역 장벽이나, 거래 비용, 가격 차별과 같은 요인 때문에 시장 구조가 불완전해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관세 같은 무역 장벽과 수송·유통·정보와 같은 비용 때문에 교역재에 대한 차익 거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국가 간 가격 차이는 여전히 유지된다.
둘째, 무역 장벽과 거래 비용이 낮다 하더라도 특정 국가에서 독과점 때문에 특정 상품에 대한 대체재가 제대로 형성돼 있지 않다면 해당 업체가 가격을 신축적으로 조정하지 않을 것이므로 가격 차이는 그대로 유지된다.
셋째, 제품 같은 교역재가 아니라, 사람이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 상품처럼 국가 간 교역이 이뤄지기 힘든 비교역재인 경우에는 차익 거래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격 차이는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넷째, 요즘은 교역재인 상품이더라도 교역재를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비교역재의 비중이 크므로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하기 어렵다. 휘발유는 대표적인 교역재이지만 나라마다 땅값, 인건비와 같이 휘발유를 생산할 때 들어가는 비교역 투입재의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나라마다 가격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