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미생물은 플라스틱을 분해하면 어떤 물질로 변환하나요?

플라스틱은 자연 분해에 굉장히 오래 걸리기에 사용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억제가 어렵기에 해결책으로 미생물이 떠오르고 있는데요. 이러한 미생물은 플라스틱을 분해했을 때 어떤 물질로 변화시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바다위의소금쟁이
    바다위의소금쟁이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먹고 배설물 즉 썩는 유기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플라스틱에 대한 환경오염의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분해할 때,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폴리머 분자를 분해하여 각종 화합물으로 변환시킵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은 탈레이틴산과 에틸렌 글리콜 등의 화합물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합물은 자연적으로 분해되거나 다른 생물체에 의해 대사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이나 특정 애벌레들은 플라스틱을 먹고 소화를하는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것들을 분자나 원자단위로 쪼개서 분해하고 에너지를 얻어간다는 뜻입니다.

    한가지 예시로 PETase라는 효소는 PET 플라스틱을 분해해서 MHET로 변형시키고, 다시 단위체인 terephthalic acid으로 분해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