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미시령, 한계령은 발산형 경계에 의한 지형인가요?
고1 학생이고, 학교에서 선생님이 해양판과 해양판 사이의 발산형 경계설명해주시면서 세가지 고개 대관령, 미시령, 한계령을 필기해주셨는데 무슨 설명을 해주셨던건지 기억이 안나서요. 해양판과 해양판 사이의 발산형 경계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판의 경계와 관련이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대관령, 미시령, 한계령은 발산형경계와 관련된 지형이 아니며 태백산맥에 속하는 산악지형의 일부분입니다~ 발산형 경계는 두 판이 서로 멀어지면서 그 사이로 맨틀 물질이 올라와 새로운 해양 지각을 형성하는 곳입니다. 해양판과 해양판 사이의 발산형 경계에서 해령과 같은 해저 지형이 주로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대서양 중앙 해령은 발산형 경계에서 만들어진 해저 산맥입니다. 선생님께서 필기해주신 대관령, 미시령, 한계령은 아마도 한국의 산악 지형과 관련된 설명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고개들은 한반도의 지질학적 구조에 대한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언급되었을 수 있습니다. 발산형 경계와 관련된 지형이라기보다는 한반도의 산맥 형성이나 교통로와 관련된 지리적 설명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