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비둘기가 땅바닥에서 먹이를 찾는 능력은?

아침 출근길

버스정류장에서

거의 늘 비둘기 들을 마주칩니다만

일단 사람을 무서워하는 면이 거의없어서

사람발 옆으로 알아서 왔다갔다 하다보니

가까이서 볼 수 있는데요

바닥에서 먹이를 찾아먹으려고

분주히 돌아다니면서 여기저기 쪼아대는걸

보게되는데

그중엔 입에들어갔다가 바로 뱉어버리는

경우도 보게되는데

근데 육안으로는

입으로 쪼으는 그 물질들이

먹이인지 뭔지 구분이 힘든 작은것들인데요

비둘기들은

그게 보면 어떤기준으로

먹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쪼으는 건가요?

그만한 시력과 판단력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실 비둘기의 시력과 판단력은 우라 생각보다 훨씬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감각과 경험을 통해 먹이를 구별합니다.

    먼저 비둘기는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작은 물체를 멀리서도 정확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이는 비둘기의 눈 구조 덕분인데, 망막에 있는 시세포의 밀도가 인간보다 훨씬 높고, 색깔을 감지하는 능력도 뛰어나 다양한 색상과 미세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작은 먹잇감이라도 시각적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비둘기는 단순히 시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닙니다.

    과거 먹이를 먹었던 경험과 먹이로 삼을 수 있는 곤충이나 벌레 등의 움직임, 부리로 쪼았을 때의 질감, 냄새, 크기와 형태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먹이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죠.

  • 비둘기는 시력이 매우 좋아서 땅바닥에 있는 작은 물질들을 잘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눈으로 먹이처럼 보이는 것을 찾아 부리로 쪼아보면서 먹을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입에 넣고 맛이나 질감을 판단하여 먹이가 아니면 바로 뱉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비둘기는 생각보다 상대적으로 발달된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 시각에 의존하지는 않고 일단 쪼아보는 경우도 많고 질감, 무게, 맛 등을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입에 넣었다가 다시 뱉는 경우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