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빙그레퀸
빙그레퀸24.03.26

아들이 군대갔는데 무릎이 아프다해서

나이
50
성별
여성

아들이 무릎이 아프다해서 군병원에갔는데 연골연화증이라고하다네요 그럼 어떻게해야할까요 제가 약을 처방받아서 약으로 버틸수있나요 걱정되어 올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무릎을 쉬게해주고, 소염진통제 복용 및 스트레칭등으로 보존적치료해보는 게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보존적치료에 증상이 호전없고 악화양상이라면 수술적치료를 고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연골연화증이 있다면 부상에 더욱 취약한 상황이라 보아야 합니다. 진통제는 군병원이나 부대 내에서도 처방받을 수 있을테니 불편할 때 복용하시면 되겠고, 무릎이 부어오르거나 붉어지는 등의 염증반응을 보이는 경우 진료를 요청하셔야 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연골연화증은 관절 내 연골 조직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것을 의미합니다. 관절 연골은 관절 내 골단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충격을 흡수하고 움직임을 부드럽게 합니다. 이러한 연골이 약해지면 갈라지거나 벗겨질 수 있습니다. 연골연화증은 무릎을 심하게 부딪치거나 외상을 입거나 갑작스런 무리한 운동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된 증상은 무릎 관절 앞부분의 통증이며 계단 오르내리기나 장시간 앉아있는 동안 심해집니다. 이외에도 무릎의 이상 각도, 딸깍거리는 소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신체 검사와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에는 휴식과 운동 요법이 포함됩니다. 만약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쪼그려 앉는 자세를 피하고, 무리한 운동을 자제하며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연골연화증은 관절 연골이 점차 약해지고 마모되어 통증과 운동 제한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원인으로는 과도한 운동, 외상, 노화, 유전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관절 통증이 움직일 때만 나타나지만, 점차 악화되면 쉴 때도 통증이 지속됩니다. 통증으로 인해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고, 근력이 약해지게 됩니다.
    연골연화증의 치료 목표는 통증 조절, 관절 기능 유지, 연골 손상 진행 억제입니다. 초기에는 무릎 보호대 착용, 물리치료,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증상 조절을 위해 진통제, 소염제 등의 약물 치료가 도움될 수 있습니다. 연골 보호제, 연골 재생 촉진제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약물 치료만으로 연골 손상을 막기는 어려우며, 규칙적 운동과 함께 체중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손상이 심할 경우 관절경 수술이나 인공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아드님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증상 정도에 따른 적절한 약물 처방과 함께 장기적인 관절 관리법에 대해 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