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이빨 사이 이물질이 자주껴서 이런경우 교체를 해야할까요?
금이빨한지 16년정도가 지나가는데
밥을먹으면 이물질이 자주 끼어서 치실이나 치실이없으면 그냥실로 이물질제거를 하고있는데 최근 이빨사이가 좀더벌어져서 이물질이 더 잘 끼는것같은 느낌이들어요
이런경우 금이빨을 교체해야할까요?
금이빨 관리나 적절한 교체시기가 궁금합니다
금이빨한지 16년정도가 지나가는데
밥을먹으면 이물질이 자주 끼어서 치실이나 치실이없으면 그냥실로 이물질제거를 하고있는데 최근 이빨사이가 좀더벌어져서 이물질이 더 잘 끼는것같은 느낌이들어요
이런경우 금이빨을 교체해야할까요?
금이빨 관리나 적절한 교체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금이빨을 사용하는데 이물질이 자주 껴서 불편하시군요.
보철물의 수명이 딱히 있는 것이 아니지만 금니는 오래사용하다 보면 마모되므로
오래되어 보철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음식물이 많이 끼면 벗겨내고 다시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치아사이가 벌어져서 이물질이 많이껴서 불편하시거나 그로인해 구강청결을 유지하기 어렵다면 보철을 다시하기 위해 치과방문을 권유드립니다.
또한 치실은 꼬아진 실이 아니지만 일반 실은 꼬아진 실이므로 치실보다 두꺼울 수 있고 치실의 두께보다 두꺼운 실로 치실처럼 사용한다면 이사이가 벌어질 수 있고 일반실은 거칠기 때문에 치아사이 금이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일반 실로 치실처럼 사용하시는건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잇몸뼈가 흡수되어 잇몸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 이는 치주염에 의한 영향과 노화에 의한 영향이 함께 나타나는 것 때문입니다. 만약 보철물이 오래되었고, 해당 보철물의 디자인이 식편압입(음식물 끼임)에 불리한 구조를 가진 경우라면 보철물을 재제작해보는 것도 방안이 될 것 입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크라운이 16년이 되었다면 어느정도 오래 쓰신 편입니다.
음식물이 낀다면, 충치의 가능성도 있고, 이가 벌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두경우 모두, 크라운을 교체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치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를 완전히 덮어 씌우는 크라운 치료의 경우, 적절한 교체시기가 없습니다.
특별히 탈이 나지 않고 유지관리가 잘 되는 상태라면 구태여 교체를 해 줄 필요가 없습니다.
간혹 크라운 하방으로 추가적인 충치가 생기거나, 빠지면서 변형 되는 등의 경우에는 새로 크라운을 제작하지만, 멀쩡히 있는 크라운을 특정 기간이 지났다고 그냥 교체하지는 않습니다.
치아 사이가 벌어져서 이물질이 잘 끼는 것은 대부분 잇몸질환에 의해, 혹은 노화에 의해 잇몸이 내려가면서 치아 사이의 공간이 더 노출되게 되면서 그 전보다 음식이 잘 끼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공간을 임의적으로 폐쇄하는 것은 잇몸 건강에 더욱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중해야 하며, 정확한 검사와 진단이 필요합니다.
음식이 잘 끼면 치실과 치간칫솔 등의 관리와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잇몸이 더 내려가는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환자의 현재 구강상태를 알 수 없어 정확한 진단은 어려우니, 치과에 내원하셔서 꼼꼼히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