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투명한잠자리412
투명한잠자리412

돈 모으는 법은 배운 적 없는데, 왜 쓰는 법은 본능적으로 알게 되는걸까요?

어릴때부터 돈은 아끼고 모아야 한다는 말은 많이 듣습니다.

부모님도 항상 그렇게 말씀하셨고요. 각종 매체에서도 돈을 모으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곤 하잖아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그런 가치관이나 상식을 바탕으로 돈을 저축해야 한다는 생각이 자리잡힌 것 같습니다.

근데 이상한건, 왜 쓰는 법은 딱히 배우거나 하지 않아도 본능적으로 알게 되는건가요?
할인된 상품이라던가, 오늘만 판매하는 상품이라는 문구같은걸 보면 자연스럽게 내내 필요없는 소비를 한다던지요.

여태 커오면서 듣고 배워온건 돈은 아껴야한다, 저금해야 한다 이런 것이지만, 왜 배운적도 없는 소비를 더 하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돈 모으는 것은 보통 집안의 어른 들의 몫이 였기에 아이들은 배울 기회가 없지만 어릴 때 부터 돈 쓰는 법은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이미 어릴 때 부터 상점에서 돈을 내고 물건을 사는 것이 습관이 된 것이지요. 하지만 돈 모으는 법은 사실 부모님들이 잘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담을 주기 싫은 부노님들의 생각도 있지만 요즘의 젊은 부모님들은 아이들에게 돈 모으는 방법이나 경제 교육을 많이 시키기도 합니다.

  • 인생을 살면서 소비하지 않는 것은 삶이 영위가 안 됩니다. 생존을 위해서 소비는 필수입니다.

    그에 비해 돈을 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거 같아요. 돈 가치가 떨어지니 값어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고 설상가상이 지금이 아닌가 싶습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절약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하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합니다. 소비는 상황에 맞게 완급조절을 잘 해야 하는 거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소비행동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본능과 연결되어 있답니다

    ​이제 우리 뇌는 무언가를 소유하고 즐거움을 얻으려는 욕구가 원초적으로 있는데 진화론적으로 보면 생존에 도움이 되는 자원을 확보하려는 본능이에요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기업들은 이런 인간의 심리를 잘 이용해서 마케팅 전략을 펼치죠 특히 한정판이나 타임세일 같은 희소성 마케팅은 우리의 손실회피 심리를 자극하게 됩니다

    ​근데 저축은 진화적으로 봤을 때 비교적 최근에 생긴 개념이라 본능적으로 와닿지 않는면이 있어요 제 생각에는 그래서 의식적인 노력과 교육이 더 필요한거 같네요

    ​이런 본능적인 소비충동을 이기려면 결국 자기통제력을 키우고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아 글고 소비 전에 꼭 필요한지 냉정하게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도움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