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19

블랙스완이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될 것들이 일어나는 거라던데, 예시로 뭐를 들 수 있나요?

누구도 예측 못한 일들이 일어나고 최악의 경제 상황이

이런 용어가 맞는지 모르겠는데,

처음에 이 용어가 쓰여진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블랙스완의 대표적 예로 과거 증시대폭락(경제대공황)과 2008년도 금융위기의 경우를 블랙스완이라고 합니다. 당시의 경제충격들은 실제 발생하기 힘들 것이라 예상되었던 금융사들의 몰락이 발생하기도 하였고, 대공황에는 대부분의 주식이 90%이상 폭락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실제 경제대공황이 발생하면서 95%까지 주식이 하락한 상황하였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블랙스완"이라는 용어는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그의 저서 "블랙스완: 불가능한 것의 영향력(The Black Swan: The Impact of the Highly Improbable)"에서 처음 대중화한 개념입니다.

    이 용어의 유래는 과거 유럽인들이 오직 백조는 흰색뿐이라고 생각했지만, 호주에서 검은색 백조가 발견되면서 기존의 상식이 깨졌다는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즉, 블랙스완은 대중과 전문가들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는 희귀하고 예측 불가능한 사건을 의미합니다.

    블랙스완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종종 거론됩니다:

    1. 2001년 9월 11일 미국 동시다발 테러 사건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3.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후쿠시마 원전 사태

    4. 2016년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국민투표 결과

    5. 2020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런 사건들은 사전에 예측하기 어려웠고, 발생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여겨졌지만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사회 경제적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불확실성은 높아지고, 이는 블랙스완의 출현 가능성을 키운다고 합니다.

    또한 일부 사건은 사후적으로 보면 경고 신호가 있었음에도 무시되거나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됩니다.

    블랙스완 이론은 우리가 불확실성을 겸허히 인정하고, 예상치 못한 사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질 것을 강조합니다. 특히 변동성이 큰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은 블랙스완의 위험성을 염두에 두고 분산투자와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블랙스완의 유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블랙스완의 유래는 16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네델란드의 탐험가였던 윌리엄 드 블라밍이

    서부 호주에서 기존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블랙스완 (흑고니) 를 발견 한 것에 착안해서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일이 실제로 나타나는 경우를 블랙스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서 금융위기 당시에 전세계 4대 투자은행 중 하나였던

    리먼 브라더스 등이 파산한 것이 블랙스완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블랙스완은 예기치 못한일이 일어 난것을 말하는데, 예시로 이번에 코로나 대유행을 들 수 있습니다.

    블랙스완이라는 용어가 등장했을때가 2008년금융위기때와 맞아서 자주 쓰이게 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블랙스완 이론은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이나 불확실성이 예상치 못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금융 시장에서의 급격한 주가 하락, 자연재해로 인한 대규모 피해, 혹은 급작스러운 정치적 변화 등이 블랙스완 사건으로 예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