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물에 젖으면 왜 색이 진해보이나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1입니다.

옷이나 종이같은 물에 젖는 물건

들은 물에 젖으면 진해 보이는데

왜 물에 젖으면 색이 짙어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도 어릴 때 정말 궁금했던 질문입니다. 물에 젖게 되면 젖은 부분쪽에 빛의 난반사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색이 더 진해보이는 현상이 생깁니다..인간은 항상 빛의 인식을 통해 물체를 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물체를 담그면 그 물체의 색이 더 진해지는 이유는 빛의 산란(Scattering)과 흡수(Absorption) 때문입니다. 빛은 물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통과할 때 산란과 흡수에 의해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우선 빛이 물에 들어가면, 빛의 파장이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빛의 일부가 산란되고 흡수됩니다. 산란은 빛의 파장이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물 분자가 빛을 흩뿌리기 때문에 빛이 어디로든 향할 수 있습니다. 흡수는 빛의 일부가 흡수되어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색상의 빛 파장은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물에 들어가면 다른 정도로 산란되고 흡수됩니다. 일반적으로 파란색 빛은 물 분자와 가장 많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물에 들어가면 파란색 빛이 산란되어 더 많은 양이 흩어지고, 붉은색 빛은 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덜 흡수됩니다. 그 결과, 물에 들어간 물체는 파란색 빛이 더 많이 흩어져서 물감이 더 진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산란과 흡수의 원리로 인해 물에 젖으면 물체의 색이 진해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색을 본다는 것은 빛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하는 빛을 보는 것입니다. 종이나 옷감이 물을 흡수하면 물에 의해 빛이 굴절되고 옷감에 원래대로 반사되지 못하고 물을 지나서 원단에서 반사되어지기때문에 물이 묻은 부분에서 원래보다 더 적은 양의 빛이 반사되어 그 부분은 더 어둡게 보이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종이나 휴지섬유 사이사이에 스며들며 빛이 종이표면만 반사되어 나오는것과 다르게 흡수되는 빛이 발생합니다.

    즉, 물이라는 물질의 빛반사특성이 함께적용되어 보이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젖으면 색이 진해지는 이유는 빛의 산란과 흡수의 결과입니다.

    먼저, 물은 빛을 산란시킵니다. 산란은 빛이 입사각도와 방향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산란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과 같이 긴 파장의 빛보다는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과 같이 짧은 파장의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물에 들어간 빛 중 파란색과 초록색 등 짧은 파장의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흩어져 나가게 됩니다. 이러한 파란색과 초록색 등 짧은 파장의 빛이 많이 산란되면 빛의 진폭이 줄어들게 되어 색이 희미해지고, 반대로 빨간색 등 긴 파장의 빛은 덜 산란되기 때문에 색이 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의 눈에는 종이나 옷의 색깔이 보이는 건 빛이 종이나 옷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보이는 겁니다. 예를 들면 빨간색의 옷은 빛이 비추면 빨간색 빛은 반사되고 나머지 빛은 흡수가 되어 우리는 빨간색으로 볼수 있는 겁니다. 그런데 종이나 옷은 표면이 매끈하지 않아서 빛이 반사될때 난반사가 일어나게 되고 이 난반사 된 빛이 우리눈에 보이게 됩니다. 그런데 물에 젖으면 옷감의 울퉁불퉁한 표면이 얇은 물의 막으로 덮혀 평평하게 되고 이로인해 빛의 난반사를 일으키지 않아서 우리가 볼때 색깔이 진해지게 됩니다. 자기의 원래색이 보이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