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물을 다르게 변형을 시켜서 줄어드는경우도 있나요?

우리가 물을 얼리거나 하게 되면 부피가 늘어나게 되잖아요

이렇게 부피가 늘어나는것은 있지만 다르게 변형을 시켜서 줄어드는 현상도 있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물은 독특하게 얼음이 되었을 때 물보다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밀도가 줄어들면서 물위에 뜨는 아주 독특한 물질 입니다. 일반적인 액상의 물질이 고체가 되면 보통 부피가 줄어들면서 밀도가 커지게 됩니다.

    최초 상태의 물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분자 구조의 특성상 거리가 일정이상 가까워지게 되면 분자간의 힘에 의해 육각형의 구조를 이루게 되어 부피가 액상일때 보다 오히려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물의 부피가 온도 변화에 따라 줄어드는 현상은 주로 특정 조건 하에서 관찰됩니다. 일반적으로 물은 온도가 증가하면 팽창하고, 온도가 감소하면 수축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그러나 물은 4°C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가지고, 이 온도에서 최소의 부피를 차지합니다. 4°C 이하로 온도가 떨어질 때 물의 부피는 다시 팽창하기 시작하여, 얼음이 되었을 때는 물보다 부피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는 물의 분자가 정렬되어 격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면서 생기는 공간 때문입니다.
    또한, 압력의 증가에 따라 물의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도 있습니다. 고압 하에서 물의 분자들은 더 밀집되어 부피가 감소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해양의 깊은 곳과 같은 고압 환경에서 물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실제로, 물은 매우 높은 압력에서는 거의 압축이 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압력의 영향을 받아 미세하게나마 부피가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물은 특정 조건에서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도 존재합니다. 물의 부피는 온도에 따라 변하며, 4℃에서 가장 작아집니다. 이는 물이 4℃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4℃ 이상에서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부피가 감소하지만, 4℃ 이하에서는 수소 결합 구조가 형성되며 부피가 다시 증가합니다.

    따라서 물의 부피를 줄이려면 4℃로 냉각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는 물의 독특한 물리적 특성 중 하나로, 다른 액체들과 차별화되는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