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지색이란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경국지색이란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의 미인을 부르는 말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어떤 역사적 사실에서 유래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한무제(漢武帝) 때 협률도위(協律都尉)로 있던 이연년(李延年)은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고합니다.
“북쪽에 어여쁜 사람이 있어 세상에서 떨어져 홀로 서 있네. 한 번 돌아보면 성을 위태롭게 하고 두 번 돌아보면 나라를 위태롭게 한다. 어찌 경성이 위태로워지고 나라가 위태로워지는 것을 모르리요만 어여쁜 사람은 다시 얻기 어렵도다”라고.
이는 절세가인인 자기 여동생을 자랑하려는 것이었고, 이에 입궁한 여동생은 한무제의 총애를 받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서 이부인열전에 나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중국 한무제 때 협률도위 로 있던 이연년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노래 솜씨는 물론 작곡과 춤 실력도 뛰어나 무제의 총애를 받았다. 어느날 무제 앞에서 춤을 추며 가인가 라는 노래를 불렀다.
이 노래는 이연년이 절세 미인인 자기 누이동생을 자랑하여 부른 것으로 사랑하는 여인도 없이 쓸쓸한 처지였던 무제는 노래를 듣고 당장 그녀를 불러들이게 하였다. 무제는 그녀의 아름다운 자태와 날아갈듯이 춤추는 솜씨에 매혹되었는데 이 여인이 바로 무제의 만년에 총애를 독차지한 이부인으로 그녀는 병이 들어 누워있을때 무제가 문명을 왔음에도 불구하고 초췌한 얼굴을 보이기 싫어 끝내 보여주지 않았다고 한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국지색이란 성어는 중국 한무제때 음악을 관장하는 벼슬인 협률도위로 있던 이연년이 지은 다음과 같은 시에서 유래되었다.
"북쪽에 어여쁜 사람이 있어 세상에서 떨어져 홀로 서 있네.
한번 돌아보면 성을 위태롭게 하고 두번 돌아보면 나라를 위태롭게 한다.
어찌 성이 위태로워지고 나라가 위태로워지는 것을 모르리요만 어여쁜 사람은 다시 얻기 어렵도다"
이 노래는 무제 앞에서 절세미인인 자기 누이 동생을 자랑하여 부른 것이다.
무제는 이때 이미 50고개를 넘어 있었고 사랑하는 여인도 없이 쓸쓸한 처지였으므로 당장 그녀를 불러 들였다.
무제는 그녀의 아름다운 자태와 날아갈 듯한 춤추는 솜씨에 매혹되었는데 ,
이 여인이 무제의 만년에 총애를 독차지했던 이부인이다.
그녀가 병들었을때 무제가 문병을 와서 얼굴 보기를 청하였으나 초취한 얼굴을 보이기 싫다고 끝내 얼굴을 들지 않았다고 한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국지색이란 성어는 중국 한무제때 음악을 관장하는 벼슬인 협률도위로 있던 이연년이 지은 다음과 같은 시에서 유래되었다.
北方有佳人 絶世而獨立 一顧傾人城 再顧傾人國 寧不知傾城與傾國 佳人難再得
북쪽에 어여쁜 사람이 있어 세상에서 떨어져 홀로 서 있네.
한번 돌아보면 성을 위태롭게 하고 두번 돌아보면 나라를 위태롭게 한다.
어찌 성이 위태로워지고 나라가 위태로워지는 것을 모르리요만 어여쁜 사람은 다시 얻기 어렵도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연년(李延年)의 시에서 비롯된 단어. 국가의 운명을 위태롭게 할 만한 절세의 미인을 가리키는 고사성어. 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아 나라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