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

환율지정국이 무슨 뜻인가요??

옛날에 중국이 환율지정국으로 지정받아 여러 가지 불이익을 받았다는데 환율지정국이 무슨 뜻인가요?

환율지정국으로 지정되면 무엇이 안좋은 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 조작국이란 미국이 매년 4월과 10월 경제 및 환율정책 보고서를 통해 발표하게 됩니다.

      자국의 수출을 늘리고 자국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를 말합니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이 된다면 미국국기업 투자 시 금융지원 금지, 미 연방정부 조달시장 진입 금지 

      국제통화기금을 통한 환율 압박, 무역협정과 연계 등의 제재 등이 뒤따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주요 국가에서 정부가 의도를 가지고 환율을 조정했다면, 미국에서 이를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환율지정국 혹은 관찰국으로 지정합니다. 그렇게 되면 외국인 투자가 줄어드는 악영향이 있습니다. 외국인 입장에서야 미국의 안좋은 시선을 받고 있는 나라에 적극적인 투자를 안하겠죠? 자산시장으로 보면 지정국의 주식시장이 젤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지정국은 아마도 환율조작국 지정을 지칭하는 단어를 질문 주신 것 같습니다. 2019년 8월 5일에 중국은 「종합무역법(1988)」에 근거하여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환율조작국이란 자국의 수출을 늘리고 자국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 당국이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서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게 되면 「종합무역법(1988)」에 의거하여 미 재무장관이 환율의 신속한 조정을 위해서 IMF 내 혹은 양자간 협상을 신속하게 개시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미국 상무부는 2019년 5월 23일, 미국 달러 대비 자국 통화가치를 저평가시키는 국가에 상계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통화보조금’의 혜택 및 특정성 판단방법을 도입한 상계관세 규정 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환율조작국 지정은 결국 상대방이 자국에 대한 화폐의 가치를 조작하여 인위적으로 수출실적을 유리하도록 만드는 행위이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에게도 환율조작국가와의 거래 관계에 대해서 의심을 하게 되고 경계를 하도록 만들게 됩니다. 그럼 기존에 수출하던 중국제품은 관세가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가격 경쟁력의 하락과 환율조작국의 대외 무역수지는 좋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조작국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환율조작국은 자국의 수출을 늘리고 자국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를 미국이 매년 4월과 10월 환율정책 보고서를 통해 발표하는데요. 이 때 지정하는 나라들이 바로 환율조작국입니다.

      특정국이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에 경제적 불이익을 가할 수 있는데, 제재 수단은 미국 기업의 해당 국가 투자 시 금융 지원 금지, 미 연방정부 조달시장 참여 금지,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한 환율 압박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