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어플을 통한 국채투자를 고민 중인데 사는 것보다 팔때가 고민이네요
안녕하세요
요즘 증권사에서 장내시장을 통해 채권투자를 소액으로 할 수 있는 걸 알았는데요.
공부를 하다보니 살때는 어찌저찌 산다고 하지만 나중에 금리가 떨어지고 채권가격이 올랐을 때 과연 사람들이 장내시장에서 낮아진 금리의 채권을 굳이 사줄까?라는 걱정이 들더라구요. 그렇게 되면 팔고싶어도 거래량이 없어 팔지 못하는 상황이 올거같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하네요.
거래금액이 5천~1억원사이라면 장내시장에서 국채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나중에 팔때 거래량이 많을까요??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론 살 때보다 팔 때까지 고민을 하시는 것은 매우 좋은 자세입니다. - 아무래도 채권은 장내거래보다는 장외거래가 훨씬 규모가 크기 때문입니다. - 다만 만약 금리가 내려서 채권값이 올라서 비싸게 사줄 사람이 있을까 고민이 되실 수도 있지만 그때보다 금리가 더 떨어질 전망이 크다면 당연히 그 가격에서도 살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 금리가 예전에는 해외의 경우 마이너스 금리도 있었고 거래가 되는 것이니까요. - 중요한 것은 차후 그 당시의 금리 전망이 더 중요할 것입니다. - 다만 말씀드렸다시피 장내 채권거래는 기본적으로 시장 자체가 크지 않다는 점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거래량과 같은 경우에는 예단할 수 없습니다. - 이러한 거래량이 문제가 되신다면 최근에 각 자산운용사에서 - 만기형 채권 ETF를 출시한 사실이 있고 이것들 중에는 국고채에 대한 - ETF도 있으니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채권가격과 발행금리의 관계에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습니다. 채권의 액면금리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보다 낮아지게 되면 채권의 매매가격은 낮아지게 됩니다[액면가가 낮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 채권은 예금과 동일하게 발행시에 '액면가'와 '명목금리'를 지정하여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은행예금은 서로간에 명의이전이 복잡한 반면 채권은 서로간의 매수매도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 예를 들어서 1월 1일에 1년만기의 100만원 액면가의 채권을 2%의 금리에 발행하였습니다. 1월 1일 기준에는 예금 금리가 1.5%로 예금금리 보다 높아서 채권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6월 1일이 되면서 예금 금리가 3%가 되었고 채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앞으로 금리가 더욱 오를 것이라 생각해서 채권을 매도하고 예금을 가입하고 싶어합니다. - 그런데 2%의 채권을 예금금리가 3%인 상황에서 사려고 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채권을 가진 사람들은 채권을 할인해서 팔게 됩니다. 즉 액면가 100만원짜리를 99만원에 팔게 되면서 1만원의 손해를 보고 채권을 매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여기서 왜 금리가 2%밖에 안되는 채권을 구입하였을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굳이 금리가 2%인 채권을 매입한 이유는 채권의 '실질금리'를 따졌을 시에는 만기가 6개월 남은 채권이 더 많은 이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3년 1월 1일에 만기가 되면 채권을 99만원에 구입한 사람이 받게 되는 원금과 이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원금 = 액면가 = 100만원 
- 이자 = 액면가 100만원 x 2% = 2만원 
 - 99만원으로 채권을 구입한 사람은 102만원의 원금과 이자를 받게 되며, 1년을 기준으로 채권의 실질이자율을 따지게 되면 약 6%의 이자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 즉, 채권을 싸게 판 사람은 위와 6% 이상의 수익을 얻지 못하는 이상은 손실이 발생한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금금리 상승으로 채권투자자들이 손실을 보았다라고 이야기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 이렇게 시장 거래자들간의 채권 매매는 '향후 미래의 예측'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는 '수요-공급이론의 원리'에 따라서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여 판매되거나 혹은 채권의 가격이 상승해서 판매되는 식으로 나누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그리고 국채의 거래는 거래단위가 100억원 (1계약이라고 합니다)단위의 거래가 많아서 1억원이라면 충분히 거래량에 녹여서 소화시킬 수 있으니 거래량의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지금 생각하셔야 하는 것은 '채권의 가격을 액면가보다 저렴하게 사느냐'가 채권투자의 핵심이니 잘 확인하시고 구매해주세요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