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상호금융 조합원 자격은 거주지 또는 직장인가요?

지금까지 한 곳만 조합원이 되면 준조합원 자격이 생기는 신협만 예적금을 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상호 금융의 이율이 더 높은 경우가 많던데, 다른 곳은 조합원 자격이 거주지 또는 직장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호금융기관인 신협, 새마을금고, 농협, 수협 등은 조합원 가입 시 거주지나 직장 소재지를 기준으로 자격을 부여합니다. 즉, 해당 기관의 지점이 위치한 행정구역 내에 거주하거나, 그 지역에 직장이나 사업장이 있는 경우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신협의 경우, 한 지점에서 조합원으로 가입하면 다른 지역의 신협에서도 '간주조합원'으로 인정되어 저율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마을금고, 농협, 수협 등 다른 상호금융기관은 이러한 간주조합원 제도가 없으므로, 각 지점별로 조합원 자격을 따로 취득해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 지점의 행정구역 내에 거주하거나 직장이 있어야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협의 조합원 자격은 해당 조합의 구역 안에 주소나 거소 또는 사업장이 있는 자이어야 하며, 농업을 영위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른 상호금융기관의 예적금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신다면, 해당 지점의 조합원 자격 요건을 확인하시고, 거주지나 직장 소재지가 해당 지점의 관할 구역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호금융의 조합원 자격은 등본상 주소지를 기준으로 해당하는 조합에 입출금 통장을 개설하고, 출자금을 납부한 사람입니다. 다른 곳의 조합원 자격이 되려면 등본상 거주지를 옮기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