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고로께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생긴 말인가요?

제과점에 진열된 빵 중에 고로께라는 빵이 있는데요 빵안에 통 팥이 가득 들어가 있어 먹음직스러워 보이는데요 고로께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생긴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코롯케는 프랑스의 크로켓이 일본으로 전해져 변형된 음식입니다.

    일본어 발음을 따라 Korokke 라는 고유명사로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의 크로켓(croquette)이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코롯케라고 불려졌고 대한민국에서 불리는 고로케는 일본어에서 유래하여 불려지고 있지만 일본과는 다른 방식의 음식이라고 합니다. 일본은 밥 반찬이나 식사에 가깝지만 대한민국은 빵 요리나 간식에 가깝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로케의 유래는 1909년 네덜란드 제과기술자 (Kwekkeboom)가 프랑스 여행중 크로켓 만드는 걸 우연히 발견하고 네델란드에 소개하였고 20세기 초 네덜란드의 크로켓 (kroket)이 일본에 전해졌고 일본 사람들이 이것을 현지화하여 고로케 (Korokke)로 일본화 시켰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일본어 음식인 고로케 빵이 된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