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도 얼수 있다고 하던데 휘발유의 어는 온도는 몇 도인가요?
지금까지 휘발유는 얼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휘발유도 알 수 있다고 하던데 ,휘발유가 얼수 있는 온도는 몇 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는 일반적으로 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얼 수 있습니다. 휘발유는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얼리는 온도는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40도 이하에서 얼기 시작하지만 휘발유의 성분에 따라서는 더 낮은 온도에서도 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얼리는 온도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는 -40도 이하에서 얼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휘발유가 얼지 않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함께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휘발유는 얼어도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얼어도 차량에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도 추우면 업니다. 휘발유는 -40도에서 -45도 사이에서 얼어갑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도 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휘발유의 어는점은 매우 낮아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얼지 않습니다. 휘발유의 어는점은 영하 100도 정도입니다.
휘발유가 얼지 않는 이유는, 휘발유에 포함된 파라핀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파라핀은 휘발유의 점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파라핀의 양이 많을수록 휘발유의 어는점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는 파라핀의 함량이 높아서 어는점이 낮습니다.
휘발유가 얼면, 연료 필터나 인젝터 등에 막히게 되어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휘발유의 어는점을 고려하여 주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휘발유의 어는점을 낮추기 위해, 휘발유에 동결방지제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동결방지제는 휘발유의 어는점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동결방지제를 첨가하면, 휘발유의 어는점을 영하 20도 이하로 낮출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겨울철에 휘발유에 동결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도 용액이기 때문에 어는점이 있습니다. 다만 제조사나 성분등에 따라서 어는점이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휘발유의 경우 제품의 성분에 따라서 영하 38도~영하 100도까지 어는 휘발유가 있고 경유는성분에 따라서 영하 17도~60도까지 어는점이 다르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는 영하 100도 이하에서 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휘발유 종류따라 +-10 도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은 지구상엔 없으니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연료이기 때문에 어는점 때문에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는 가솔린을 주요 성분으로 하여 벤젠, 토루엔, 자일렌, 메틸삼차부틸에테 가 들어있습니다
휘발유는 영하 38도이하의 온도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우리나라의 기온은 현실적으로영하 38도가 되기 어렵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의 어는점은 약 마이너스 40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얼어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마이너스 100도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우리 일상에서 접하기 힘든 온도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휘발유가 어는 것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는 순수한 물질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입니다.
휘발유의 어는점은
혼합물의 조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영하 60도에서
영하 90도 사이입니다.
휘발유의 어는점이
낮은 이유는 휘발유에
포함된 탄소 사슬이 길수록
어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탄소 사슬이 길수록
휘발유의
분자량이 커지면서 분자간 결합력이
강해지고 얼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휘발유의 옥탄가가
높을수록 어는점이
높아집니다.
옥탄가는 휘발유의
폭발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옥탄가가 높을수록 폭발성이
낮아집니다.
폭발성이 낮은 휘발유는
분자간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얼기 어렵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는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에서 사용되지만, 특정 온도에서는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휘발유의 얼리는 영하 온도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에서의 증발이기 때문에 정확한 얼리 온도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휘발유는 주로 다양한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기 때문에, 그 구성에 따라 증발 속도와 증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휘발유는 약 -40°C에서 -45°C 정도의 온도에서는 증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조건에서의 대략적인 범위이며, 실제 조건과 휘발유의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휘발유의 어는 온도는 영하 100도입니다. 하지만, 휘발유에는 다양한 종류의 탄화수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휘발유의 어는 온도는 휘발유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