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냐는 또 뭐죠? 기상관련해서요.
엘니뇨라는거 때문에 비가 많이 온다했는데, 보니까 비슷한거 라니냐라는것도 있네요. 이건 또 뭔가요? 리나냐는 비가 많이 안내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 현상과는 반대로 적도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적도 부근의 서태평양 해수 온도는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동태평양 해수 온도는 저온이 되는 해류의 이변 현상을 말한다. 라니냐 현상은 엘니뇨 현상의 시작 전이나 끝난 후, 평균보다 강한 적도 무역풍이 지속될 때 발생하는 기후 변동 현상이다.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원래 찬 동태평양의 바닷물은 더욱 차가워져 서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격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나타날 수 있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는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현상입니다. 라니냐는 엘니뇨의 반대 현상으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라니냐가 발생하면 동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지고 서태평양의 기압이 낮아집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에서는 비가 적게 내리고 서태평양에서는 비가 많이 내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
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엘니뇨(라니냐)로 인해 그 주변 지역의 기후현상이 달라집니다. 엘니뇨(라니냐)에 의해 비가 적게 내리던 지역에 비가 많이 내리기도하며 평소 비가 오던 지역에 가뭄이 찾아오기도합니다.
리나냐(La Niña)는 엘니뇨와 반대로 태평양 열대 동부의 해수면 온도가 평균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엘니뇨와 마찬가지로 리나냐 역시 태평양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결과입니다.
리나냐는 일반적으로 태평양 지역에서 비가 적게 내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엘니뇨와는 반대의 기후적 영향을 가지며,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