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따봉은 어디서 시작된 표시인가요?

엄지손가락으로 따봉이라는 표시를 하며 상대를 추켜세워주는 제스처는

어떤 나라에서 시작된 문화인가요?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제스처인데

시작이 어떤 나라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스타박스
    스타박스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원래 포르투칼어로 엄지척에 해당하는 매우 좋다 또는 알았다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브라질이 한때 포르투칼 식민지였던적이 있어서 브라질에서도 포르투칼 말을 일부 씁니다.


    따봉이란 표현이 국내에 정착되고 열풍이 분 것은

    1989년 모 오렌지쥬스 광고부터였습니다.


    해당 오렌지 쥬스에 원료오렌지의 품질을 브라질 농부들이 신중히 살퍼보고 있다가


    오렌지의 원산지 브라질 농부들은 최상급 오렌지를 보면 이렇게 외칩니다... 란 성우의 나래이션과 함께


    활짝 웃으며 엄지척을 하고 "따봉" 이라 외치고

    다른 농부 및 농부가족들이 환호하며 오두방정을 떠는 광고였는데


    이 광고가 당시 너무 재미있어서 엄청난 파장이 일어나며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최고다란 표현에 자연스레 엄지척을 하며 따봉을 외치는 것이 유행이 되었지요.

    즉 따봉이란 표현 자체는 원래 그냥 포르투칼 말(표현) 인거고

    엄지척을 하는 행위가 만국 공통적 표현이라는 의미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좋다, 최고라는 의미의 제스쳐지만

    태국과 그리스에서는 오히려 욕 또는 비난을 의미하고, 이란에서는 공격지시를 의미하는 손동작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전에는 그 손동작에 따른 표현을 "왓따"라고 표현했는데, 요즘 들어 엄지척이라고 부르더군요. 뭐 의미는 최고라는 것 맞구요.

  • 안녕하세요. 빨간무지개입니다.


    따봉 하니 옛날 쥬스 광고가 생각나네요.

    전 그때 알게 되었다는...


    따봉은 브라질어로 매우좋다는 뜻의 말이에요.

    포르투갈어죠. 실은.


    우리나라는 쥬스 광고사가 TV광고를 찍을 때

    나오면서 유명해진 말 이랍니다.

    사실 여러 나라의 좋은 말들 배워놓으면 좋긴하지만

    이 손가락을 치켜세우는 행동은

    이슬람 같은 나라에서는 욕이랍니다.


    따봉이 좋은 말이라고 해도

    그를 수반하는 행동이 나쁜 뜻이면 나쁘게 보이죠.

    다 문화의 차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