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

약한 빛은 멀리서 볼 수 없습니다. 지속적으로 빛을 내도 멀리선 보이 않는데 빛이 흩어져서 그런가요?

빛의 속도는 초속 300000킬로미터입니다. 그렇다면 아무리 작은 빛이라도 순간적으로 멀리까지 도달할 거 같은데 작은 빛은 조금만 거리가 멀어도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가는 도중에 흩어져서 그런가요? 후레쉬로 지속적으로 빛을 내어도 똑같습니다. 일정 거리가 지나면 보이지 않습니다. 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작은 것일수록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빛이 가는 도중에 흩어져서 그것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보이지 않는 이유는 빛이 가는 동안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빛이 가는 동안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서 일어나는 빛의 감쇠로 인해 발생합니다.

      빛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빛이 이동하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세기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물체에 대한 빛은 인간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빛이 가는 도중에는 다양한 물질과 상호작용하면서 흡수, 반사, 굴절 등의 현상도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빛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다른 현상들과 결합하여,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물체에 대한 빛이 보이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약한 빛이 멀리서 볼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산란입니다. 빛은 직진하는 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물질과 상호작용하면서 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산란이라고 합니다. 산란은 빛의 파동이 물체의 입자와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흩어지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