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중에 휴화산은 어떻게 구분하는지 궁금해요
화산 활동이 현재 있으면 활화산, 잠시 쉬는 상태면 휴화산?이라고 하고 아예 죽으면 사화산?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 용어가 확실하진 않아요. 근데 이런 산 상태는 어떻게 구분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분화구의 상태: 분화구가 현재 폐쇄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휴화산은 분화구가 폐쇄되어 있으며, 활동이 멈춘 상태이므로 활동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적습니다.
2. 지질학적 특징: 휴화산은 활동이 멈춘 산으로, 지질학적 특징을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활동 중인 화산은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지질학적 특징이 많지만, 휴화산은 활동 전에 생성된 지질학적 특징이 많습니다.
3. 지진 활동: 휴화산은 평온한 상태이므로 지진 활동이 적습니다. 활동 중인 화산은 지진 활동이나 지각 변동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4. 기타: 그 외에도, 산의 역사나 활동 기록, 지역 사람들의 전통적인 지식 등을 종합하여 판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 활동의 상태는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으로 구분됩니다. 활화산은 현재 활동이 있는 화산으로 지속적으로 화산재가 분출되고 있습니다. 휴화산은 잠시 쉬는 상태이며 화산 활동이 멈추고 잠잠한 상태입니다. 사화산은 화산 활동이 완전히 멈춘 상태로 화산체가 완전히 식어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화산 상태는 지진 화산재 분출 등의 활동을 통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활화산은 지속적인 화산재 분출과 함께 지진이 발생하며 휴화산은 화산 활동이 멈추고 지진이 줄어들게 됩니다. 사화산은 화산체가 완전히 식어있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화산의 활동 패턴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활화산은 지속적인 화산재 분출과 함께 화산체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휴화산은 화산체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화산은 화산체가 완전히 식어있기 때문에 크기가 크거나 작은 차이가 없습니다.
휴화산은 활화산과 사화산의 중간 상태로 활동이 멈추고 잠잠한 상태이지만 언제든지 활화산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