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12

코로나 확진 경험이 있는 사람이 또 확진이 될 수 있나요?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코로나약
기저질환
코로나

안녕하세요!! 저희 엄마, 아빠가 지금은 아니지만 저번에 한번씩 코로나 확진을 받았었거든요. 근데 지금은 제가 코로나 확진이 되서 집에 격리되어 있는데요! 엄마, 아빠는 한번 확진이 되서 저한테 전염되진 않겠죠?? 항체가 생겨서 다시 걸리지않을가요? 아님 또 코로나 확진이 될 수있나요? 전문가님들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확진 후 3~4개월간은 획득된 항체로 인해 재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그 이후에는 항체가 소멸되어 재감염 가능성이 점차 높아집니다.

    현재 재감염율은 13% 이상으로 상당히 높습니다. 부모님께서 코로나 19 확진 후 3개월이 지나셨다면 철저히 생활공간 분리하고 방역에 힘써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예전에 코로나에 감염되었던적이 있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항체가 감소하여 코로나에 대한 면역이 떨어져있을 가능성이 있기에 부모님과는 따로 격리하여 접촉하지 않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에 감염이된 경우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항체가 감소하여 재감염되는 사례가 있기에가능한 가족들과는 따로 격리하여 지내길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부모님깨서 코로나에 걸린지가 얼마되지 않았다면 코로나에 다시 걸리지는 않습니다.

    코로나 재감염은 같은 바이러스가 아닌 변이 바이러스라면 감염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에 감염이 되었다고 해서 다시는 감염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3~6개월 정도 감염 가능성이 낮은 시기일 뿐 이 시기에도 변이 바이러스 등에 의해 재감염이 될 수 있고 3~6개월이 지난 시기라면 감염 가능성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과 같은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개인차가 잇습니다. 면역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항체 양이 현저히 감소되엇다면 재감염의 가능성 역시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이후 형성되거나 강화된 항체의 효과는 6개월 정도 지속됩니다. 또한 6개월이 되지 않더라도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면 재감염이 될수 있기에 확진자와는 접촉을 최대한 줄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 얼마든지 재감염, 또 확진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생성된 항체등으로 3~4개월 이내는 재감염 가능성이 극히 떨어지긴 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완전히 감염 가능성이 0는 아니기 때문에 언제라도 재감염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코로나 확진력이 있더라도 감염 후 약 3개월 정도가 지나면 항체 생성력이 약해져서 재감염의 위험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코로나에 재확진 되는 사례도 많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11월 20일 0시 기준, 확진자 2,568만 6,216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 이상) 71만 1,642명 중 2회감염 70만 9,181명(99.65%), 3회 감염 2,461명(0.35%)입니다.

    또한 코로나 확진이후 45일이 지나면 재감염이 가능합니다.

    요즘은 많은 오미크론 하위변이들이 존재하기에 재감염 가능성이 더욱 높으므로 주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

    증상 유무에 관계 없이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PCR 검사 결과 양성판정을 받았거나, 최초 확진일 이후 45~89일 사이 PCR 검사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 (또는 해외여행력)이 있는 경우 재감염 사례로 분류합니다. 확진일로부터 45일 이전에는 검사결과 양성이 나와도 기존 감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코로나 감염으로 획득한 항체는 개인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3개월 전후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기간이 경과한 경우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확진 판정을 받으신지 3개월이 경과하였다면 질문자 분과 격리 등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이 된 이후에는 항체가 만들어지며 면역력이 생기기 때문에 재감염이 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서서히 항체가 줄어들면서 재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전에 코로나에 걸렸더라도 접촉력이 새롭게 발생하면 또 확진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재감염이 되고 현재 확진자의 13프로 정도가 재감염일 정도로 많아지고 있습니다. 부모님도 초감염 후 6개월이 지났다면 재감염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재감염이 가능하며 대개 확진 후 45일 이내에 재감염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3개월 이상 지난 후에는 코로나 관련 항체는 다시 감소하기 때문에

    재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며 평균적으로 재감염까지 120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이전에 코로나 확진된 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다시 재감염될 수 있으므로 집에서 격리 하여주시고 마스크 잘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코로나 재감염이 현재 11%정도 된다고 합니다.

    항체 농도가 떨어지는 시점에서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재감염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재감염은 가능성은 낮지만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코로나에 한번 감염되었다면 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항체가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코로나가 계속해서 변이를 일으킨다면 현재 가지고 있는 항체로 100%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습니다. 다만 변이바이러스로 인한 경우가 아니라면 빠른 시일 내에는 형성된 항체로 인해 재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굉장히 낮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한 번 코로나에 감염된 후 6개월 가량은 항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