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멋진부릉카100
멋진부릉카100

시중 은행에서 판매하는 기준금리가 4% 이던데 4% 이면 적정 금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적금을 들고 싶어서 이리 저리 찾아보는 도 중 최대 6%-7% 주는 곳도 있던데 추가 금리이고 기본적으로 4% 기본금리 이더라구요. 시중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금 기준금리 4% 면 적당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신한은행에 처음이지 적금이라는 상품은 과거 1년간 신한은행 예적금 가입 이력이 없다면

      7.7%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입니다

    • 이러한 특판상품을 잘 노리고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을 수 있다면 일반 적금 보다는

      특판을 노리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시중은행의 기준금리 4%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금리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금 상품의 금리는 은행마다 다르며, 추가 금리나 프로모션에 따라 실제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6%-7%의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보통 특정 조건이나 기간이 있을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장기 가입이나 특정 금액 이상 예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시중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금 4퍼센트면 적정 수준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중 은행인 1금융권 은행에서 적금 4퍼센트대라면

    보통 수준의 금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의 기본금리가 4%라면 높은 편에 속합니다.

    은행연합회에서 제공하는 예적금 상품 금리 비교를 이용하시면, 정액적립식으로, 만기 12개월짜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기본금리가 4%를 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자세한 비교를 원하시면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neosave.php 에서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의 4% 금리가 적정한지 여부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4%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느껴질 수 있으며,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질 금리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이나 펀드와 같은 다른 투자 상품에 비해 예금은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이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4% 금리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고, 최근 저금리 시대에 비해 높은 금리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단기 목돈 마련을 위해 예금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원금 손실의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예금 상품을 선택할 때는 금리 변동 가능성, 물가 상승률, 우대금리 조건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추가 금리 상품을 선택할 때는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높은 수익률에 따른 위험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투자 목표와 기간, 원금 손실에 대한 감수 여부 등을 스스로 검토한 후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양한 금융 상품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쉽지만, 적금이자가 그정도라면 합리적인 선이라고 생각합니다. 6-7%를 준다면 그것은 1금융권이 아닌 2금융권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시점 기준 4%이면 최대수준 금리입니다.

    특히 기준금리 인하가 거의 확실시 되므로 당장 은행들이 적금금리도 9월기준 상당수 내릴것으로 예고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적금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1금융권, 2금융권 그리고 각 금융기관별로 엄청나게 차이가 있습니다.

    4%라면 현재 시점에서는

    엄청 낮은 편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적금 금리를 알아보시는군요. 은행을 둘러보면 기준금리가 4% 정도인 적금 상품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게 과연 적정 금리인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사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해요. 금리 자체만으로는 적정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거든요.

    우선, 기준금리 4%라는 것은 요즘 금리 상황을 고려했을 때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은행 적금 금리가 1%대였던 걸 생각하면, 4% 금리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라 할 수 있죠.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추가 금리 조건이에요. 최대 6%-7%를 주는 상품도 있지만, 그 추가 금리를 받기 위해선 특정 조건들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급여 이체나 신용카드 사용 실적,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출금 없이 유지하는 등의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아요.

    둘째로, 적정 금리를 판단하는 방법은 본인의 재무 목표와 상황에 맞춰서 결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적금을 통해 안전하게 자금을 모으고자 하는 경우, 안정적인 4% 금리도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어요. 하지만, 만약 조금 더 공격적으로 자산을 불리고 싶다면, 주식형 펀드나 ETF, 또는 달러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겠죠. 이는 각자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감내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셋째, 시장 상황과 향후 금리 전망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인상되는 추세라 은행 예금과 적금의 금리도 상승하고 있어요. 따라서 앞으로 더 나은 금리의 적금 상품이 나올 가능성도 있어요. 다만, 현재의 4% 금리가 당신의 재정 계획에 부합하고, 조건이 괜찮다고 느껴진다면 지금 가입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시중은행의 4% 기준금리는 현재로서는 적당한 편이지만, 본인의 재정 상황과 목표, 그리고 추가 금리 조건을 잘 따져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옵션을 비교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적금 상품을 찾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평균으로 보자면 4%면 나쁘지 않습니다.

    6~8%짜리는 사실상 구체적인 조건들이 포함되어있고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실제로 4%정도가 평균적인 적금 금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내가 어느 은행의 고금리 상품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라고 하면 6~8%짜리로 가시는게 맞다고 보입니다.

    사실상 이렇게 고금리로 주는 혜택의 마감이 멀지 않았습니다.

    미국의 금리인하 시그널이 나오기 시작했고 금리인하 시 결국 한국도 그에 맞춰 낮출 수 밖에 없기에 시기나 %를 보았을 때 적당하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대구은행에서 사명이 변경된 IM뱅크가 적금 기본금리 4프로 주네요

    적정한게 아니라 적금기준으로는 베스트같습니다 우리가 흔하게 아는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같은 시중은행은 기본 적금금리가 2프로 전후거든요 거의 2배네요 적금 가입 생각한다면 좋은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현재 시중은행 금리가 대부분 4%대 입니다.

    6~7% 보신 것들은 가입 한도가 적거나 아니면 다른 부수적인 옵션들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은 4%대가 적정금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