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에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궁금한게 있어서 여쪄봅니다.
제가 몇달전에 친구랑 검진겸 위내시경을 하였는데요..이번에 할때는 헬리코박터균도
검사해달래서 해서 결과를 보았더니 조금 검출이 되었는데 의사선생님이 위가 깨끗하기때문에 괜찮다고하시길래 제가 물어봤거든요 이거 옮는거냐고 그랬더니 선생님이 이거뿐만아니라 우리 입속에는 무수한균이있다 국만덜어먹음된다고하셔서 괜찮은거같은데 저의 아버지가 암에걸리신 경험이 있어서 조심스러워서 제껀 따로 먹고 식기도 소독하는데 정말 위험한건가요,?이야기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헬리코박터균 때문에 많이 불안하신 모양이네요
결론을 말씀드리면 감염은 가능합니다.
우선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헬리코박터균은 유병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현재 헬리코박터균에 걸린 사람이 많다는 것이지요. 50%는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의 경우 fecal to oral infection, 그러니까 분명에 오염이 된 물이나 음식물을 통하여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위생이 불량하거나 지하수를 마시거나 화장실후 손을 씻지 않는다던가 하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죠
헬리코박터 균은 위에 살고 있는 균입니다.
식사를 같이 하는 것으로 감염이 될려면 입에서 어느 정도 머물다가 나온 음식을 드셔야 감염이 될 것입니다.
물론 일부 사람에서 위액이 역류하시는 분이 있다면 식사를 같이 하는 것으로도 감염이 가능할 것입니다.
환자분의 경우 조그만한 가능성도 불안하시면 헬리코박터 치료를 받으시고 다른 분과는 음식을 share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어느 정도 조심을 하시는 것이라면 어느 정도 음식을 share 하시는 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h.pylori 양성이라는 말씀이신거겠죠?
다만, 위염에서 궤양 등이 동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는 보험 급여는 되지 않고, 환자분이 전액 부담하여야 한답니다.
우선 특별한 이상소견 없으니 추적하시자란 말씀으로 들리는데,
제균치료 하셔도 된답니다.
보통 헬리코박터 1차 제균치료에서 약 70% 가량이 성공한답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헬리코박터균이 있다고 무조건 심각하고 큰일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만, 헬리코박터균은 위험 인자가 맞습니다. 따라서 헬리코박터균은 발견이 된다면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조금 검출이 되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해당 균은 위에서 위점막에 영향을 주고 점막의 보호 효과를 저해시켜 위산으로 인하여 위가 손상을 받도록 유도할 수 있는 종류의 해로운 균입니다. 때문에 만약 헬리코박터균이 양성이 나왔는데 그것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를 할 경우에는 위궤양의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가 있습니다. 더 심해질 경우에는 위암까지도 유발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만약 검사에서 헬리코박터균이 검출이 되었을 경우에는 방치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이며 반드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헬리코박터균 치료에는 약물 삼제요법을 시행하며 그로 인하여 제균을 시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