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초행에 좌회전 표지판없는데 그냥갈려다 기다리니 좌회전신호떴어요 땅바닥에 있었는데 못본걸까요 신호등에 단한개의 표지판도 없었는데 어떻게 구별하나요
야간 초행에 좌회전 표지판없는데 그냥갈려다 기다리니 좌회전신호떴어요 땅바닥에 있었는데 못본걸까요 신호등에 단한개의 표지판도 없었는데 어떻게 구별하나요
야간에 초행길에서 좌회전 표지판이 없었지만 좌회전 신호가 떴다면, 도로 바닥에 좌회전 신호 표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일반적으로 좌회전 신호는 신호등에 별도로 표시되거나, 도로 바닥에 좌회전 화살표가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야간에는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바닥 표시를 놓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잘 구별을 해봐야겠죠
야간 주행에서 좌회전 길의 경우 신호등이 4개자리이면 좌회전 표시가 점등이 되고요. 신호등이 3개자리이면 비보호 좌회전을 하면 되겠습니다.
야간에 초행길에서 좌회전 표지판이 없고, 신호등에도 좌회전 신호 표시가 없어 혼란스러웠던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좌회전 신호와 표지판이 없는 경우 구별 방법
1. 노면(땅바닥) 표시 확인
많은 교차로에서는 좌회전 가능 여부를 노면(차선 위) 화살표나 '비보호 좌회전' 등으로 표시합니다. 야간에는 조명이 어둡거나 차량에 가려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노면을 확인해야 합니다. 못 보고 지나치는 경우도 흔합니다.
2. 신호등 구조 파악
좌회전 전용 신호등(녹색 화살표)이 없고, 표지판도 없다면 일반적으로 직진 신호(초록불)에서 반대편 차량과 보행자를 잘 살핀 뒤 좌회전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도 '비보호 좌회전' 표지나 노면 표시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만약 좌회전 신호가 따로 들어온다면(녹색 화살표 등), 그 신호에 따라 좌회전해야 하며, 신호가 없을 때는 직진 신호에서만 가능하니 꼭 신호 체계를 확인하세요.
3. 비보호 좌회전 표지 유무
비보호 좌회전은 모든 교차로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비보호 좌회전' 표지판이나 노면 표시가 있는 곳에서만 할 수 있습니다. 표지판이나 노면 표시가 없다면 좌회전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4. 감응 신호(센서 신호) 주의
일부 교차로는 차량이 좌회전 차로에 진입해야 감응 신호(좌회전 신호)가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이 경우 노면에 사각형 센서 표시가 있을 수 있으니, 해당 위치에 차량을 정확히 정차해야 신호가 들어옵니다.
야간·초행길에서의 실전 요령
노면 표시와 표지판을 항상 확인: 표지판이 없으면 노면 표시에 '비보호 좌회전'이 있는지, 좌회전 화살표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신호등을 꼼꼼히 관찰: 좌회전 신호(녹색 화살표)가 들어오는지, 아니면 직진 신호(초록불)만 있는지 확인합니다.
표지판·노면 표시 모두 없으면: 좌회전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임의로 좌회전하면 신호위반이 될 수 있습니다.
감응 신호 구간에서는: 노면의 사각형 표시 위에 정차해야 좌회전 신호가 들어옵니다. 이를 놓치면 신호가 안 들어올 수 있습니다.
결론
야간과 초행길에서는 노면 표시와 표지판을 더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신호 체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좌회전 신호나 비보호 좌회전 표지·노면 표시가 없으면, 무리하게 좌회전하지 말고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응 신호 구간에서는 노면의 센서 위치에 맞춰 정차해야 신호가 들어온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이러한 기본 원칙을 숙지하면, 표지판이나 신호가 헷갈리는 교차로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