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새침한흑로44
새침한흑로4423.07.14

슬슬 고집이 생기는거 같은데 첫돌도 안되서 이러니 힘드네요?

아이가 담달로 첫돌을 맞이하는데 고집이 상당히 강한거 같습니다. 심하다 생각들정도로 맘에들지않으면 악을쓰고 얼굴이 터질것처럼 벌것게 숨을 참고 악을써요 ㅠ 좋게 타이르거나 해봐도 듣질안네요 너무 힘들면서 한편으로 성격아빠질까바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가들이 고집을 피우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자아 발달 단계의 과정입니다.

    고집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도 한답니다.

    아이가 고집을 피운다고 야단을 치거나 나무라기 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읽은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탓하기 보다는 그래 그럼 이 방법은 어때? 하며 다른 좋은 방법을 알려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때는 아직 자신이 할수있는것 대비해서 불편함이 많기에 그럴수있습니다

    이때는 뗴를부리기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볼수있기에 많이 안아주고 다독이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아직 감정을 직접 표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울음이나 떼를 쓰는 행위, 고집부리는

    행동을 보입니다. 이로써 아이가 자신의 마음을 부모에게 전달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화가 어려운 시기에도 단호한 음성과 표정으로 훈육이 가능합니다. 다만 너무 강압적인 훈육은 아이 자존감을 잃게 만들기 때문에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훈육을 강압적이지 안게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 아가들은 특별히 성격이 까다롭고 건강에 문제가 없는 한 아이들의 반항은 재롱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아이의 안전에 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충분히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만족을 충분히 채워주면 자신감이 생기고 호기심도 왕성해집니다.

    그러나 귀엽다고 아이의 요구를 다 받아주는 것은 좋지 않으며, 엄마의 판단에 따라 단호히 거부할 때를 구별해 안 되는 일은 엄하게 훈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돌이 되었다면 어느 정도 말귀는 알아먹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되는 것은 단호하게 안돼 라고 알려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악을 쓰고 운다면 아이의 울음이 진정될 까기 기다리셨다가 아이의 울음이 진정되었을 때 아이에게 왜 그 행동이 안되는 것인지에 대해서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잘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